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아마도 뼛속부터 한국인인 기자의 검사 결과는 역시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하플로그룹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그룹은 D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외에 어떤 일이 있나요?권영상 도시 재생에 관련된 일이 많아요. 청계천의 세운상가나
연세대
앞의 ‘차 없는 거리’도 일종의 도시 재생이에요. 이런 것을 설계하고 구상하는 것도 도시설계에서 하는 일입니다.권영준 건설환경공학부에서는 도시설계 이외에 어떤 다른 분야를 연구하나요?권영상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수 있는 염기쌍 수가 여전히 1차 함수 형태로만 늘고 있다.문제는 정확성이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현재 화학적 합성으로는 염기 100개 마다 1개 꼴로 오류가 발생한다”며 “수백 개 이상의 염기로 원하는 유전자를 한번에 합성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수십 개의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방식대로 초파리 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문석준
연세대
치대 교수는 “연구실마다 레시피가 조금씩 다른데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레시피를 통일하자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고 말했다. 한두 번 해보면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는 작업이기 때문에 연구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단백질의 구조까지, 신경 써야 할 것이 많다. 이 설계를 컴퓨터가 알아서 해준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첼로는 정확한 생체회로를 설계하고, 이에 사용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것”이라고 평했다.나아가 생물학을 잘 모르는 사람도 첼로를 이용하면 유전자를 쉽게 설계할 수 있다.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접하는 학자들은 기타 선택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공식을 뽑기도 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디락 방정식’을 최고의 방정식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자연의 기본 입자인 쿼크와 전자의 행동을 기술하는 이 방정식이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방식으로 상대성 이론과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것은 어떨까. 배척의 일인자가 돼 홀로 남겨지고 싶은 게 아니라면 말이다. 박진영
연세대
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청년의사신문’에 심리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한 주를 건강하게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간에 해묵은 감정이 명절을 계기로 폭발하는 겁니다.” 민성길 대한기독정신과의사회장(
연세대
명예교수)은 명절 스트레스의 근본 원인을 평소 가족 관계에서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명절 증후군은 가족마다, 개인마다 차이가 크다. 강동수 충남대 의대 교수팀은 2006년 3~7월 사이에 명절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뼈대 아니던가. 꼬리에 꼬리를 잡고 수많은 의문들이 뭉게뭉게 피어났다. 그러나 윤웅섭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금속을 연료로 이용한 건 이미 오래됐다”고 말했다. “공중에서 금속 분말을 태워 폭발시키는 불꽃놀이가 시초입니다. 그 열과 빛, 폭발력을 이제 자동차나 발전소에 써보자는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그 뒤를 이었다. 윤주영(이화여대)·장석복(KAIST)·김기문(포스텍)·김종승(고려대)·천진우(
연세대
)·현택환(서울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또 수학 분야에서는 권오민(충북대)·강신민(경상대)·박주현(영남대) 등 3명, 농학 분야에서는 김대옥(경희대)·김세권(부경대) 등 2명, 동물학및식물학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