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량"(으)로 총 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감사절에 먹기 위한 감자도 몇 개 갖고 왔어요. 와트니는 화성에서 감자를 재배해 4년치 식량을 만들기로 했어요.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2010년부터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우주인들이 채소를 직접 재배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채소재배시스템’을 개발해 왔어요. 우주인들은 채소재배시스템을 통해 ...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흡혈박쥐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흡혈박쥐들은 이렇게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식량 부족의 위기를 해결하는 거예요.흡혈박쥐는 보통 한 무리에서 몇 년 동안이나 같이 살아가기 때문에 주변에 가까운 친척들과 함께 살아요. 그러므로 피를 나눠 주는 이타행동이 나의 친족을 돕기 위한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혹시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가 곤충 식량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개미나 메뚜기를 먹는다고 생각하니까 징 ... 설명한다. ▶ 또 다른 미래 식량 후보인 배양 고기에 대해 설명한다. ▶ 마지막 미래 식량 후보인 스피루리나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얻었지요. 그래서 유엔 국제식량기구(FAO)에서 약 40년 전인 1974년에 스피루리나를 미래 식량으로 지정했답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건강식품으로 스피루리나 가루나 캡슐을 이용하고 있죠.그런데 스피루리나가 속한 시아노박테리아는 독성물질을 만들어낸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직 논란이 ... ...
- 장님 물고기는 먹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안녕? 나는 지구 정복을 꿈꾸는 악당, 닥터 그랜마! 늘 지구 정복을 도와 줄 지구 생명체를 찾아다녔지만 실패하고 있지. 오늘도 아주 멋진 지구 생명체를 찾 ... 결과를 발표했어요. 배부름을 모르는 내가 당신의 지구 정복 파트너가 된다면 당신의 식량이 남아나질 않을 거예요. 괜찮겠어요 ... ...
- 디젤 매연 맡은 벌, “꽃을 못 찾아”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라지면 인간의 식량체계는 완전히 무너진다. 고추, 사과, 애호박, 오이 등 과일과 채소의 80%가 열매를 맺으려면 꿀벌의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디젤엔진의 매연이 벌의 먹이활동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사우스햄튼대와 레딩대 합동 연구팀은 벌이 먹이를 찾을 때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식물도 피해갈 수 없다식물도 마찬가지다. 우리 주식인 벼를 살펴보자. 이점호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장은 “벼를 비롯한 작물 육종의 가장 큰 성과는 바로 키를 줄인 것”이라며 “전세계 모든 작물은 기계수확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육종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작물의 키가 크면 이삭이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동반된다.지금도 배고픈가? 그러나 당신의 몸은, 소화생리학적으로 지금의 엄청난 포식량을 감당할 수 없다. 메가이터 인간은, 결코 메가이터가 되지 말았어야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언제부터였을까. 900L에 달하는 냉장고가 가득 차 있는 게 미덕이 된 것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한 2010년 전세계에 공급된 식품 무게의 총합은 9,191,196,555,310kg. 삼시 세끼에 후식과 야식까지 챙겨먹은 우리들의 지난 날이, 이렇게 어마어마한 숫자로 남았다. 가히 ‘메가이터(Mega Eater)’라 ...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세계 경작지의 3분의 1은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땅이다.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호주 맬버른대 스태판 퍼슨 교수팀이 염분이 많은 땅에서 식물의 생장을 돕는 단백질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외부의 염분 농도가 높을 때 식물 내에서 증가하는 단백질을 찾아 셀룰로오스 합성효소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