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쎄미나
연구회
seminar
셈나
쌔미나
회의
워크숍
d라이브러리
"
세미나
"(으)로 총 340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색테이블위에 울려퍼진 '월드컵 코리아'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이를 수정하는데는 제작 기일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앞으로 매년 학술
세미나
와 함께 개최될 예정인 이 행사는 특히 국제축구연맹(FIFA)의 월드컵이 벌어지는 해에는 해당 국가에서 함께 열릴 예정. 이에 따라 내년에 한 번 더 우리나라에서 대회를 가진 뒤, 1998년 3회 대회는 월드컵이 ... ...
2. 중국과학기술대학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영재반
세미나
를 위해 중국과기대를 방문한 스웨덴 왕립기술연구소의 란비박사는 “
세미나
에 참석한 영재반 학생들의 이해도는 매우 뛰어났다”고 말하면서 “영재 교육은 능력있는 사람들이 되도록 빨리 자기자신의 연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이라고 영재교육을 평가했다.그러나 ... ...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14일 청화대 본관건물 1층
세미나
실은 유난히 북적거렸다.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에 대한
세미나
가 열리고 있었는데 CERNET(China education and research network)이라는 네트워크 센터가 인터넷 전문가 양성을 위해 개최한 행사였다. 중국 전체 인터넷은 이 CERNET에서 관장하게 되며 해외로 나가는 모든 인 ...
4. 세계 최고 수준 지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대거 참여한 가운데 열려 벌써부터 센터 설립에 대한 기대를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세미나
가 이제 연중 행사로 이뤄질 것을 생각하면 아태이론물리센터의 유치가 갖는 의미는 자못 크다.사무총장으로서 센터의 실질적인 운영 책임을 맡고 있는 조용민교수는 그 의미를 좀더 쉬운 곳에서 찾아 ... ...
제자들과 함께 만든 우리별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저녁 사달라는 의사표시를 이렇게 하는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 약속 장소는 학교
세미나
실이었고 음식과 케익을 마련해 파티장처럼 꾸며져 있었다. "소장님, 회갑을 축하드립니다" 라는 소리를 듣는 순간 깜짝 놀랐다. 스스로도 잊고 있었던 생일을 제자들이 기억해줬던 것이다. 하지만 그날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것을 매클로드가 인슐린 연구에 흥미가 없었던 증거로 내세웠다.1921년 11월 생물학과
세미나
에서 결과가 발표된 뒤 갈등이 다시 나타났다. 밴팅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단지 연구조수로 여기고 매클로드의 연구가 훌륭하다고 말하는 데 충격을 받았다. 이에 밴팅은 매클로드가 아무 한 일이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효과가 있었는데도 그냥 지나쳐 버렸다.플레밍은 1929년 2월 13일 성메리병원
세미나
에서 페니실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접종과에서 생산하던 파이퍼균 백신 제조시 포도상구균의 오염을 제거하는 데 페니실린이 사용가능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을 뿐이었다.1929년 5월 논문이 발표됐으나 이미 ... ...
노트북 PC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토론하며 학습하는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바야흐로 정보화는 신문의 기획 기사나
세미나
등에서나 들을 수 있는 '먼 세상 이야기'가 아니라, 내가 존재하고 활동하는 그 어느 곳에서도 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생활 속의 이야기'가 된 것이다.얼마 전에는 한 대학에서 전교생에게 노트북 PC를 ... ...
인터네트 본격적 상업망 발돋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된 일종의 학술회의 성격을 유지해 왔다.그러나 올해의 경우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가,
세미나
와는 별도로 전시 부스를 마련함으로써 인터네트가 단순히 학술망에 국한되지 않고 본격적인 상업망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즉 인터네트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을 가능케 ... ...
물살을 가르며 새벽을 연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동아리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았다. 사실 KAIST란 곳이 일반 대학과 달라서 연구와 실험,
세미나
와 논문 등에 쏟는 시간이 많다. 그래서 밤을 새우거나 잠이 모자라는 경우가 허다해 새벽마다 훈련을 하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런 만만치 않은 여건에서도 출석률은 99.9%. 가오리 모두는 물 속에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