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서천에 다 같이 가서 갯벌에 사는 망둥이도 보고, 저어새를 관찰한 적도 있어요. 2024년에는 다 같이 철새를 관찰하러 갈 예정이에요. Q. 사마귀의 먹이를 매일 찾아준 적이 있다고요? 집에서 사마귀를 키우다 보니 사마귀가 어떤 먹이를 좋아하는지 다 알게 됐어요. 학교 다녀오는 길에 사마귀가 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땐 주의할 점도 있어! 궁금하면 폭스타와 함께 알아 볼까? 창작하는 AI가 떴다! 2015년 구글이 인공지능(AI) 딥 드림을 개발했을 때, 사람들은 깜짝 놀랐어요. 딥 드림은 사진이나 그림 같은 이미지를 입력하면,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그림을 만들어줬거든요. 딥 드림은 마치 초현실주의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의사’ 등장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쓰러지면 누가 구해 줄 수 있을까요? 2023년 7월, 영국 셰필드대학교 데이비드 킹 박사팀은 위험한 재난 현장에서 의료진을 대신해 부상자를 치료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로봇은 먼 거리에 있는 사람에 의해 원격으로 조종됩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물과 염소 가스를 결합시켜 처음으로 만들었어요. 이후 100년이 훌쩍 더 지난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자연 상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처음 발견됩니다. 곧이어 수심 300m 이상의 깊은 해저에서도 다량 발견되지요. 전 세계에 매장된 가스 하이드레이트 양은 10조 t(톤)으로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1, 13, 17, 19 네 개의 수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이는 10과 20 사이의 소수로, 수천 년 전 사람들이 이미 소수의 개념을 알고 있었다고 추측하게 만든다. 또 기원전 1000년 경 중국의 청동기 시대 사람들은 콩을 다섯 개씩 세 줄로 늘어놓아 5라는 소수로 15를 만들 수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남아 있는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페이스는 라오셰의 사례와 다르게 2003년에 처음 GIMPS를 알게 됐다. 당시 40번째 메르센 소수를발견했다는 기사를 읽은 후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개인용 컴퓨터에 바로 설치했다. 소수를 빨리 발견하고 싶은 마음에 가족들의 컴퓨터와 심지어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등장한다. 본격적으로 리만 가설을 이야기하기 전 리만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1826년에 태어난 리만은 어렸을 적부터 부끄러움이 많았고 신경 쇠약에 시달렸다. 수학에 재능이 있었지만, 집이 가난했던 탓에 목사가 되어 돈을 벌기 위해 1846년 독일 괴팅겐대학교에 들어가 신학을 공부했다. 수학을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추측’이라고 말한다. 갈 길이 먼 골드바흐 추측 골드바흐의 추측은 중학교 1학년도 이해할 만큼 간단하지만, 증명이 너무 어려워 여전히 풀리지 않았다. 이 추측을 증명하기 어려운 이유는 우리가 소수가 언제 등장하는지 아직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서다. 전 세계의 수학자는 포기하지 않고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후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은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을 거라 추측했다. 적어도 2000년이 지난 1849년 프랑스의 수학자 알퐁스 드 폴리냐크가 쌍둥이 소수 추측을 일반화했다. 임의의 자연수 k와 소수 p에 대해 p - p′ = 2k를 만족하는 순서쌍 (p, p′)가 무한하다는 명제를 만든 것이다. 쌍둥이 소수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50년 넘게 난제로 있다가 1995년에 영국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가 증명했는데, 증명 과정에서 소피 제르맹 소수에 관한 연구가 해결의 결정적인 힌트를 제공했다. 알려진 소피 제르맹 소수 가운데 가장 큰 수는 2016년 2월에 발견한 무려 38834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