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2018.09.08
- 등 가장 혹독한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까? 우리는 어떤 일이 일어났다는 사건에 대한 기억은 잘 하지만 ‘감정’에 대한 기억은 잘 하지 못하는 편이다(Loewenstein & Small, 2007). 대략 그 때 기분이 나빴다거나 좋았다는 정도이지 당시의 수많은 감정과 고통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2018.09.04
- 유용한 도구로도 쓰일 수 있다. 최근 수년 사이 지네 독액 연구가 이를 잘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네가 큰 문제가 아니지만 하와이에서는 병원 응급 환자의 11%가 지네에 물린 사람일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 대부분은 별문제 없이 치료가 되지만 혈관경련이나 급성 고혈압, 심근허혈 등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2018.09.01
- 아무런 공통점이 없지만 다른 사람이 잘 하는 것은 왠지 쉬워 보인다는 것이다. 그만큼 우리는 어떤 성과를 볼 때 그 성과가 있기까지 존재했을 노력, 인내, 좌절을 함께 떠올리기보다 그냥 성과만을 바라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특히 ‘남’이 한 것이라면 더더욱. 내가 잘 한 일은 나의 노력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2018.08.28
- 얻지 못한 건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이 부족한 것도 한 이유로 보인다. 정책 입안자들이 ‘우리 몸 연대기’를 읽었다면 좀 더 거시적인 안목에서 정책을 설계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이 과정에서 리버먼 교수나 ‘추천의 글’을 쓴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 같은 통찰력이 있는 분들에게 자문을 구했다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 문장을 살펴보자. ‘우리가 희망을 가지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자산을 위한 것은 미래의 희망이다.’ ‘건강은 현실을 소통하는 세심한 창의성이다.’ 있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별 의미도 없고 모호하기만 한 ‘아무 말’이 있다. 중요해 보이는 단어를 나열할 뿐 사실 아무런 의미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2018.08.07
- 일어난다. 아무튼 숙신산은 세포호흡의 TCA 회로를 이루는 한 성분(중간물질)일 뿐 우리 몸에서 별다른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지는 않았다. 그런데 최근 구연산이나 숙신산 같은 물질이 혈액 중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들이 신호분자 같은 또 다른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2018.08.05
- 짊어지고 있는 짐들이 우리의 예상보다 더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의 영향과 부탁에 약한 본성을 지녔지만 위 실험의 예에서처럼 이를 잘 인식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각종 요구 또는 부탁이 가진 힘과 거절의 어려움을 얕보지 말아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유전자에 왜 그렇게 많은 투자를 했는가?’라는 의아함을 상당 부분 누그러뜨렸다. 우리가 냄새로 지각하는 게 후각 정보의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숲을 슬쩍 들여다본 뒤 그때까지 나무만 봐왔다는 걸 깨달았을 때 기분이라고 해야 할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2018.07.28
- 얻고 있는 등 쓸데없는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들이 점점 힘을 얻고 있는 것 같다.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음을 기억해보자. 몸에 대한 부끄러움의 대를 끊어보자. [1]Alperin, A., Hornsey, M. J., Hayward, L. E., Diedrichs, P. C., & Barlow, F. K. (2014). Applying the contact hypothesis to anti-fat attitudes: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어느 정도일까. 세계암연구재단은 일주일에 적색육 500그램을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연간 적색육 소비량(2016년 추정치)인 34.8kg(소고기 11.5kg, 돼지고기 23.3kg)을 52로 나누면 일주일에 670그램으로 상한값을 훌쩍 넘어선 상태다. 건강을 위해 육류섭취량을 줄이라고 권해도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