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6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동아사이언스 l2019.12.10
- 해역 말미잘 안에서 알을 낳고 살아간다. 탐 슐레싱거/영국왕립학회 제공 지구과학과 기후학 부문 준우승작인 '거품이 나는 바다'. 미국 플로리다공대에서 해양공학및해양과학을 연구하는 탐 슐레싱거가 산호초 해양 유기화 프로젝트의 하나로 이 사진을 찍었다. 지구온난화와 해양 산성화로 ...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2019.12.07
- entry/Baldness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 ...
- 벽안의 과학자와 외국 과학기자가 한국 과학계에 추천하는 '대중과의 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2019.12.07
- 재스트로 기자는 “저 같은 경우는 과학자가 되지 못해 실패한 경우”라며 “천문학과에서 시민에게 망원경으로 천체관측을 하도록 돕는 것은 즐겼으나 연구에는 재능이 없다는 걸 느꼈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과학 커뮤니케이션 문화에 관심이 큰 연구자들의 지지를 받아 기자가 됐다고 했다. ... ...
- "과학이 어렵기만 하다는 편견 극복하려면 과학자가 더 다가서야"동아사이언스 l2019.12.06
- 대해 설명해야 할 당연한 의무가 있다고 토론 참가자들은 강조했다. 염한웅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국가에서 나오는 연구비가 없다면 과학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며 “대중들이 연구비를 지불하는 것이에게 납세자들에게 연구 내용을 잘 설명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고 말했다. 황정아 ... ...
- 한국, 산업용 로봇 도입 4위로 '주춤'…'밀도'는 세계 2위연합뉴스 l2019.12.06
- 현대차 울산공장의 산업용 로봇 지난해 전세계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가 40만대를 훌쩍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한국은 다소 주춤했던 것으로 나타났 ... 간 협업 ▲ 소비자의 요구를 고려한 서비스 로봇 개발· 보급 ▲ 관련 인재 육성 및 관련 학과 개설 등을 제안했다. ... ...
-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과학동아 l2019.12.06
- 진화했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저자인 카트리나 존스 하버드대 유기체및진화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몸은 어떻게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됐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에 ... ...
- 우주 비밀 밝힐 ‘초대형 입자 충돌기’ 한국 기술로 업그레이드동아사이언스 l2019.12.06
- 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실험장치로, LHC는 지구에 있는 가장 강력한 충돌기로서 물리학과 천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최전선의 연구 성과를 여럿 냈다. 입자충돌기는 납과 같은 무거운 원소의 이온이나 전자, 전자와 똑같지만 전기적 성질이 반대인 ‘양전자’, 수소 원자핵(양성자) 등을 빛의 ... ...
- [의학게시판]서울대치과병원-두산, 미얀마 양곤 의료봉사동아사이언스 l2019.12.04
- 복강경 절제술: 골반 및 대동맥성 림프절제술을 중심으로’에 대해, 윤영은 비뇨의학과 교수가 ‘비뇨기 종양 환자의 다학제 진료 관리’, 김연환 성형외과 교수가 ‘종양 절제술 후 회음부 재건 수술’을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 이대목동병원 신장센터가 12일 오후 2시부터 3시 30분까지 병원 ... ...
- 태양의 미스터리 '코로나 가열 현상' 유력한 원인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9.12.04
- 급격한 가열 현상의 원인이 밝혀졌다. 데이비드 제스 영국 벨배스트 퀸스대 수리물리학과 교수와 이탈리아, 스페인, 노르웨이, 미국 연구팀으로 구성된 ‘태양 저층대기파장연구단(WaLSA)’은 태양 채층 및 코로나의 급격한 가열 현상이 일으키는 구조의 존재를 관측을 통해 밝혀 천문학 분야 국제 ... ...
-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9.12.04
- 계산한 결과 전자가 최대 250GHz의 진동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심흥선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역학 상태를 제어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했다”며 “초정밀 전자기장 센서 등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5-019-0563-2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