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57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이를 뒷받침하는 주장이 있다. 인간이 수렵채취 시대부터 몸 안에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
하기 위해서 에너지원이 되는 기름진 맛(지방)과 달콤한 맛(탄수화물)에 쾌락을 느끼도록 진화했다는 것. 기름진 고기 요리나 달콤한 디저트는 쿡방의 단골 소재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열량이 높은 음식을 ... ...
배터리 충전속도 3배 높이는 나노막 개발
2015.07.27
수명은 4배로 높아졌다. 박 교수는 “블록공중합체로 제작한 이중 다공성 막을 에너지
저장
장치 분야에 활용해본 것은 처음”이라며 “크고 작은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전지뿐 아니라 정수 분야 등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발목과 무릎에 착용하는 간단한 구조로 걸을 때 뒤쪽에 있는 스프링이 에너지를
저장
하고 방출하면서 근육의 일을 덜어준다. 이 과정에 클러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네이처 제공 종아리근육의 활동도를 조사한 결과 외골격을 착용할 경우 활동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킬레스건과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편도핵에서 CGRP 수용체를 가진 신경세포를 억제했을 때는 통증을 가해도 공포 기억이
저장
되지 않는 반면 이 세포를 활성화시키면 정상 상황에서도 두려움을 나타냈다. 한 연구원은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감정 변화를 유발하는 통증 경로를 밝힌 것”이라며 “만성 편두통과 류머티스 ... ...
‘만능 전자피부’가 나왔습니다
2015.07.17
머티리얼스’ 6월 11일 자 온라인판에 실었다. 연구진은 전기용량(물체가 전기를
저장
하는 능력)이 압력은 물론 온도와 습도, 유기용매 등에 의해 변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전기를 잘 흘려보내면서도 탄성이 좋은 탄소나노튜브로 필름을 만든 뒤 섬유 형태로 뽑아내 방충망처럼 가로세로로 섬유를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기억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기쁨(오른쪽)과 슬픔(가운데)이 라일리의 장기기억
저장
소에서 어린시절 상상 속 친구 빙봉을 만났다. 라일리가 항상 행복하길 바라는 기쁨처럼 상상 속 친구 빙봉은 라일리를 위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헌신적인 친구다.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 울고 ... ...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컴퓨터의 속도가 크게 개선된다. 연산장치(CPU)와
저장
장치 사이의 병목 현상을 없애주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 통신망 속도가 큰 폭으로 증가한다. 광신호를 막힘없이 처리할 수 있게 돼 광통신 한 채널당 최대 40G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고화질(풀HD) 영화 ... ...
와우! 스마트폰 속도 20배 빨라지는 기술 개발
2015.07.08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설계됐다”면서 “
저장
되는 데이터 양이 11분의 1로 줄어
저장
장치의 수명도 약 39%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개최되는 소프트웨어 분야 학술대회인 ‘유제닉스 연례기술회의’에서 9일(현지시간) 발표될 예정이다.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말한다. 실리콘은 기존 리튬전지의 음극을 만드는 재료로 쓰이는 흑연보다 에너지
저장
용량이 10배 이상 크지만 충·방전시 크게 부풀어 깨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실리콘 물질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했다. 여러 개의 나노 기둥(나노 필라)으로 만들어 시뮬레이션과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관찰한 ... ...
태양열 비행기, 쉬지 않고 닷새 날아 태평양 횡단 성공
동아일보
l
2015.07.06
부착된 1만7000개의 태양열전지판에서 에너지를 얻어 프로펠러를 돌린다. 밤에는 낮에
저장
한 태양열에너지를 사용했다. 탄소섬유로 제작한 기체는 무게가 2300㎏로 미니밴이나 소형트럭 정도다. 시속 45㎞로 비행할 수 있다. 3일 오전 6시 무렵 칼렐루아공항에서는 취재진 등 200명이 보르슈베르크를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