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적절히 접으면 입구와 출구가 딱 맞물리며 순식간에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이처럼 우주를 잘~ 접어서 원하는 두 점, 즉 출발점과 도착점이 만나게 하면 순식간에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머릿속에서 그 모습이 잘 그려지지는 않지만, 이론상으로는 그렇다. 클리퍼드와 피위를 데려간 외계인은 ...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나눠준 직사각형종이가 큰 수를 쓰기에는 턱없이 작아 보이지만 잘만 쓴다면 그 안에 우주만큼 큰 수도 넣을 수 있다는 걸강조하며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지웠다 썼다를 반복하는 아이, 허공을 바라보며 골똘히 생각에 잠긴 아이, 다른 친구들과 웃고 떠들며 수의 크기에 대해 얘기하는 아이들 ... ...
-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과학동아 l2016년 07호
- ▼ 하단 이미지 확대별처럼 빛나지만 별은 아닌 존재. 동시에 우리은하 전체의 수십 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내는 존재. 거대질량 블랙홀을 ... 보시려면?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보면 아홉 번째 행성 대접을 해줄만 하다며 반기는 학자들이 많다. 하지만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학자들은 아직까지 확실히 관측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을 아끼고 있다. 플래닛 나인이 정말 아홉 번째 행성이 맞을지, 또 그보다 먼 곳에 열 번째 행성이 있을지 궁금해진다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말했다. 이날 기자는 ‘한미 협력 대기 질 연구(KORUS-AQ)’를 위해 한국에 들어온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연구용 항공기 ‘DC-8’을 타기 위해 와 있었다.KORUS-AQ는 NASA가 다른 국가 연구진과는 처음으로 협력해 진행하는 대기 질 연구 프로젝트다. 5월 2일부터 6주간 DC-8을 비롯한 항공기 3대와 위성, 선박,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자전하고 태양의 주위를 공전한다는 과학적 사실이 아니었다. 지동설을 인정하면 인간이 우주의 중심에서 변방으로 밀려난다는 게 중요했던 것이다.다윈의 진화론은 더 큰 영향을 끼쳤다. 진화론에 따르면,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신과 같은 지성적인 존재에 의해 창조된 게 아니라 원시적인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도 쓸 데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탈락한 이유1900년대 초 천문학자들은 해왕성 너머에 아홉 번째 행성이 있다고 NASA의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찍은 명왕성의 사진. 뉴호라이즌 호는 명왕성을 스쳐지나가며 정확한 크기와 표면, 대기의 상태를 조사했다. 이라고 인정받으려면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해야 한다. 예상했다. 해왕성이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천체물리학분과 책임자 폴 허츠 박사는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알아낸 지식이 인류가 우주에 홀로 존재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5월 10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건은 끝물인 경우가 많다. 감마선 폭발을 관측하기 위해 우주에 쏘아올린 미국항공우주국(NASA)스위프트 위성의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는데 수 초가 걸린다. 고개를 빨리 돌린다는 의미에서 ‘swift(빠른)’라는 이름도 붙였지만, 망원경을 돌리는 동안 감마선이 상당부분 지나가버리기 일쑤다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