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908년 최초로 방출선이 관측된 활동성 나선은하 NGC 1068.작은 원 안의 그림은 밝게 빛나는 은하핵을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1908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 ...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방사능 물질이 있는 곳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우주는 지구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한 방사능에 노출된 환경이기는 하지만요. 낮은 온도에서 살아가는 저온성 세균도 있습니다. 극지에서 사는 생물입니다. 이유경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 미생물이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쉽다. KISTI는 3년 전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극지연구소(KOPRI)와 함께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해색(海色)위성센서(MODIS)와 우리나라 천리안 위성의 정지궤도해색센서(GOCI), 다중위성을 통해 얻은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해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다. 해색센서와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해 프랑스국립우주연구센터(CNES) 는 4월 25일 마이크로스코프(MICROSCOPE)라는 인공위성을 우주로 발사했다. 인공위성에는 10-15 영역에서 등가원리를 검증할 수 있는 원통형의 두 질량시험체 쌍이 들어있다. 시험체 한 쌍은 구성 물질이 백금(Pt)으로 같고, 질량이 다르다. 다른 쌍은 구성 물질이 각각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결국 바둑판에서 대결을 펼치는 경우의 수는 최대 250150이라는 엄청난 수예요. 이는 우주의 원자를 다 합친 수보다 더 크답니다.사람인 바둑기사들은 보통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해요. 하지만 기계인 인공지능은 다음에 놓을 수를 수학적으로 계산해요. 만약 인공지능이 흑을 잡는다면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처음 발견됐을 때 활동성 은하핵(AGN)은 그저 예외적인 천체였다. 그러나 거대질량 블랙홀이 AGN의 ‘엔진’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이 블랙홀의 질량 ...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받아들여지고 있는 태양계 생성 이론(성운 모형)에 따르면 태양계는 약 46억 년 전, 우주의 거대한 분자 구름이 중력의 영향으로 붕괴되고, 중력 붕괴에 의한 수축으로 태양을 만들면서 시작됐다. 남은 가스들은 태양계 행성들을 형성했다.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얼음 화합물들이 고체로 존재할 수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비행팀에 여성과 남성이 모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NASA는 4~5년마다 한 번씩 우주비행사를 뽑는데, 2013년에는 여성과 남성을 각각 4명씩 뽑았다. NASA에서 성별을 똑같이 맞춰 뽑은 건 처음이다. 이들은 화성여행을 목표로 현재 훈련받고 있다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꺼풀, 한꺼풀씩 벗겨 나가는 학문이 화학이고 물리학이다. 광물 안에는 지구와 우주의 역사가 있고, 양자역학도 있다. 광물과 화석을 전시하는 자연사박물관이 단순한 볼거리가 아니라, 기초과학의 토대로서 꼭 필요한 이유다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물리학에 몰두하고 있다. 쿼크와 렙톤을 기본 요소로 물질세계를 설명하는 표준모형은 우주의 5%밖에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작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가 특이한 신호를 포착하면서 물리학자들이 일제히 새로운 입자를 제안하고 나선 상황이다. 고려대에서 열린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