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제로백 6초 후반…‘2.0 터보 모델’ 상식을 깨다
동아일보
l
2016.05.16
안정적인 주행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브레이크 성능도 초반 폭발적인 가속을 충분히
제어
해줄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다. 급 제동시의 반응 속도는 제법 빠르다. ● 최고 등급 획득한 올 뉴 말리부의 첨단 안전 사양 올 뉴 말리부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실시한 2016 신차 평가 프로그램(New Car ... ...
[뉴스 분석] 진공 속 달리는 초음속 열차 ‘하이퍼루프’의 모든 것
2016.05.15
원하는 역까지 한 번에 이동하기 때문에 환승할 필요도 없다. 캡슐은 중앙컴퓨터의
제어
를 받기 때문에 24시간 쉬지 않고 운행할 수 있어 사실상 첫차나 막차의 개념도 사라진다. 철도연 관계자는 “2~3초마다 한 대씩 오기 때문에 시간당 5000명을 운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899년 평균 시속 2 ... ...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6.05.13
표현해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지요. 수중 촬영로봇 ‘싸이클롭’은 정밀한 위치
제어
기능으로 수중촬영을 섬세하게 할 수 있다. - Ⓒ포항공대 극한환경로봇연구실 제공 지난달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유선철 교수팀은 바닷속에서도 수 밀리미터 단위까지 정밀하게 이동이 가능한 수중 ... ...
강도 50% 높인 탄소섬유 개발
2016.05.11
제작하면 기존 대비 강도를 50%이상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원은 “기존 물리적인 구조
제어
연구와 함께 화학적 구조를 조절하면 기계적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 ...
눈동자, VR의 마우스를 꿈꾸다
2016.05.08
했습니다. ▲ 아이플루언스의 솔루션 데모영상 물론 이른 시일 안에 이 같은
제어
기술이 상용 제품에 적용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해당 기술의 탑재시 발생할 수 있는 헤드셋 무게의 변화, 전력 소모량 등의 과제도 넘어서야 하고요. 더욱이 이제야 어느 정도 시장검증을 마친 ... ...
레이저로 피부 손상 없이 암 치료하는 길 열린다
2016.05.04
주변으로 산란된 빛보다 최대 8000배 밝았다. 또 연구진은 빛의 초점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
해 22~51㎜ 떨어진 평면 위 원하는 위치에 빛을 정확히 쪼이는 데 성공했다. 동시에 2개 이상의 평면에 여러 개의 초점을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정 교수는 “이를 활용하면 정상 조직에 피해를 주지 ... ...
‘그래핀’ 한계 뛰어넘을 신소재 대면적 합성 첫 성공
2016.05.03
온도에서도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층수 조절 등 구조적
제어
가 가능한 3인치 크기의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을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강 연구원은 “그동안 이차원 소재 상용화에 걸림돌이 됐던 합성 온도의 한계를 극복하는 원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며 ... ...
주토피아를 만든 소프트웨어의 힘!
수학동아
l
2016.04.29
한 마리가 걸어가는 동안 동물의 몸에 난 몇백만 가닥의 털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제어
하기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 ‘아이그룸’을 만들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빛의 경로를 계산해 털이 자연스럽게 빛나도록 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양이나 여우와 같은 동물의 털이 더욱 풍성하게 보이도록 ... ...
7200억 원 투입한 인공위성 ‘천리안 2호’ 조립현장 가 보니
2016.04.29
새로 제작해 넣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공위성에 넣을 컴퓨터 시스템에 위성
제어
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뒤 오류를 검증하는 ‘소프트웨어테스트장치(STB)’도 위성 조립 전에 끝내야 할 필수 작업이다. 박 연구원은 “3가지 실험 모델을 하나로 합치면 우주에 올라갈 천리안 2호가 완성되는 ... ...
차세대 스마트폰용 ‘휘어지는 화면’ 만들었다
2016.04.27
팀은 정후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면저항·투과도 특성을 동시에
제어
할 수 있는 4인치 크기의 ‘대면적 고품질 그래핀 합성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TV나 컴퓨터용 모니터에 쓰이는 디스플레이 연구는 오래 전부터 종이처럼 접거나 둘둘 말 수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