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뉴스
"
궤도
"(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좋은 망원경은 맨눈으로 보기, 그래도 부족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5.10.19
전, 수많은 천문학자들은 맨눈으로 천체를 관측했거든요. 케플러가 행성의 타원
궤도
를 증명할 수 있었던 것도 스승인 티코 브라헤의 어마어마한 관측 자료가 있었던 덕분이었지요. 한 때는 유럽에서 가장 큰 천문대를 가지고 있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도 당시 망원경 보다 2배나 정확하게 맨눈으로 ... ...
‘빛의 타임머신’ 국내 연구진이 만들었다
2015.10.07
영상 등도 촬영이 가능할 전망이다. 군사용으로 활용하면 이미 지나가 버린 적의 미사일
궤도
를 추적해 따라가는 요격미사일 개발 등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시간 역행 거울이 기존의 다른 구현 방법보다 장비가 단순하고 시간도 적게 소요될 뿐 아니라 주변 환경의 영향도 받지 ... ...
‘아리랑 2호’ 9년 간 임무 성공적으로 마치고 퇴역
2015.10.05
2006년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가 9년 동안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미래창조과 ... 입증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는 아리랑 3호, 아리랑 5호, 아리랑 3A호 등 저
궤도
위성을 운용하고 있다.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블랙홀(커 블랙홀)에서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가는 ‘에르고 스피어’ 바깥쪽 틍정
궤도
에 있는 물체가 2개로 분리되고 둘 중 하나가 빨려들어간다면,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비슷한 원리로 반대 물체는 블랙홀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이것을 ‘펜로즈 과정’이라 한다. 쿠퍼는 탐사 중 ... ...
[특집] 올해 한가위엔 '슈퍼문'이 뜬다
2015.09.19
크고 밝게 보인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것은 달이 지구를 타원
궤도
로 돌기 때문이다. 이번 한가위의 경우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35만6882km로,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인 약 38만 km보다 약 2만3000km 가까워진다. 한국천문연구원은 16일 “이번 한가위 보름달은 올해 뜨는 보름달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달
궤도
선 ‘찬드라얀 1호’를 발사했다. 중국은 2007년과 2010년 각각 ‘창어 1, 2호’를 달
궤도
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한 데 이어 2013년 12월에는 탐사선 ‘창어 3호’를 달 표면에 착륙시키고 월면차량 ‘위투(玉兎, 옥토끼)’를 올려놓는 데 성공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중국이 옛 소련과 미국에 이어 ... ...
올 추석 보름달은 17시 50분에 ‘슈퍼문’ 보세요~
2015.09.17
큰 ‘슈퍼문’일 것으로 예측된다. 달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
로 공전하면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날 달과 지구 사이 거리는 35만6882㎞에 불과하다.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인 38만㎞보다 2만3118㎞ 가까운 것으로 올해 3월 6일에 뜬 가장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공개했다. ● 상추 키우고 소변 재활용 가장 중요한 건 음식이다. 화성은 타원
궤도
로 공전하고 있어 지구와 화성 사이의 거리는 계속 바뀐다. 최단 거리가 약 5460만 km다. 화성에 물품을 보급하는 우주선이 도착하려면 최소 9개월이 걸린다. 실제로 2012년 화성에 도착한 탐사 로봇 ... ...
내년 달 탐사 예산 100억 원 배정
2015.09.10
사업에 새롭게 100억 원이 배정됐다. 올해 예산을 받지 못해 난항을 겪은 달 탐사가 정상
궤도
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달 탐사선을 싣고 갈 한국형 발사체 개발 예산도 2555억 원에서 2700억 원으로 145억 원 증액됐다. 개인연구지원과 집단연구지원 예산도 늘었다. 개인연구 지원 예산은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 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
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하트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 전망이다. 하트 지형을 방문할 때는 숨은그림 찾듯 크레이터를 찾아보자. 광활한 얼음 위에 크레이터 흔적이 거의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