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뉴스
"
궤도
"(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포츠담 천문대장 칼 슈바르츠실트는 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자원해 러시아 전선에서 탄도
궤도
를 계산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다. 1915년 말 슈바르츠실트는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입수해 읽고 여기 나오는 공식들을 천문학의 여러 상황에 적용해봤다. 그 가운데 하나가 ‘천체 ... ...
[중력파에서 감자까지]중력파 발견 기념, 주말은 SF 영화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13
러셀 헐스는 마주보고 돌고 있던 중성자별 두 개가 서서히 에너지를 잃으면서 공전
궤도
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직접 관측은 불가능했지만 이 두 별이 에너지를 잃어버리는 이유를 중력파 말고는 설명할 수 없었다. LIGO 제공 중력파에 대해 과학자들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었는지는, 이 ... ...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2016.02.12
공전
궤도
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테일러와 헐스는 4년간 관찰한 끝에 두 별의 공전
궤도
가 실제로 줄어들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중력파의 확실한 증거였다. 하지만 중력파 직접관측에 성공한 적은 아직 한 번도 없다. 중력파의 세기가 너무 미약하기 때문이다. 처음에 시공간을 호수에 ... ...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
과학동아
l
2016.02.10
발표했다. 대부분의 은하는 중심부에 초거대 블랙홀을 가지고 있고, 블랙홀 주변에는
궤도
를 선회하는 가스 원반이 있다. 이 가스에서 불안정한 부분은 에너지를 잃고 안으로 떨어져서 블랙홀의 먹이가 된다. 이론적으로는 블랙홀이 가스 원반의 안정적인 부분까지 빨아들일 정도로 크게 성장할 ... ...
北 발사체 어떤 점이 다를까 “태생부터 무기용”
2016.02.10
지난 2012년 진행된 북한의 은하 3호 발사 모습 - 동아일보 제공 북한이 2013년에 이어 두 차례나 위성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과 북한의 우주 기술에도 ... 개발한 광명성 3호, 4호는 지상과 교신기능 정도만 갖춘 초보적 위성이지만 한국은 정지
궤도
위성 ‘천리안’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 ...
北 “미사일 발사 성공적” 특별 중대 보도로 전해
동아닷컴
l
2016.02.07
궤도
에 진입했다. 위성은 97.4도로 발사해 근치점 고도 494.6Km에 원치점 고도로 500Km인 극
궤도
에 진입시켰다. 위성에는 지구관측에 필요한 측정, 통신기 등이 설치됐다”고 설명했다. 북한 조선중앙방송과 조선중앙TV, 평양방송 등은 이날 “주체 105(2016년) 2월 7일 낮 12시부터 특별중대보도가 ... ...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고했던 방향으로 쏴…軍
궤도
추적 중
동아닷컴
l
2016.02.07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발사했다고 밝혔다. 군은 현재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의
궤도
를 추적중이다. 북한은 예고했던 대로 방향으로 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일 북한은 8~25일 지구관측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국제해사기구(IMO) 등 관련 국제기구에 통보했다가 지난 6일 돌연 발사시기를 7~14일로 ... ...
[북한 미사일 발사] “2012년 광명성 3호 발사 때와 유사할 듯”
2016.02.04
발사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고 단장은 “특정 무게의 물체를
궤도
에 올려놓는 목적이라면 하루 중 아무 때나 원하는 시간에 발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닷속에서 수거한 은하 3호 발사체의 연료탱크 모습. - 국방부 ... ...
미적분 최초 개발자는 고대 바빌로니아인이다!
2016.01.31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이들이 미적분의 기초개념을 활용해 목성의
궤도
를 계산했다는 점이다. 속력과 시간의 그래프에서 면적을 통해 거리를 계산하는 ‘사다리꼴 공식’을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까지 미적분의 개념은 14세기 중세유럽에서 시작됐다고 알려졌다. ... ...
제3차 세계대전 일어난다면 우주쓰레기 탓?
2016.01.26
대상으로 사용했던 위성이다. 미사일에 맞아 3000여 개로 산산 조각 난 위성 파편이 지구
궤도
를 떠돌다 블리츠와 부딪힌 것이다. 당시 미국이 강력하게 반대했으나 중국은 실험을 강행했다. 이후 미국은 매우 격앙된 반응을 보이며 경계를 강화했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에 따르면 2015년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