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후 1년 만에 감염 건수가 6배 이상 크게 늘었다. 용 교수는 2009년 12월 NDM-1 효소를 세계
최초
로 발견해 저널 ‘항균물질-화학요법’에 발표했다.1년 새 14개국 퍼진 슈퍼 세균NDM-1 생성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은 지난 2008년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처음 발견됐다. NDM-1 효소의 정식명칭은 발견된 지명의 ... ...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평평한 캔버스에 표현하는 능력을 발휘했어요. 그래서 자화상을 독자적인 분야로 확립한
최초
의 화가로 인정받고 있답니다.뒤러의 첫 번째 자화상은 엉겅퀴 같은 식물을 들고 있는 작품이에요. 1493년에 그린 을 보면 22살의 남자가 손에 꽃을 들고 있어요. 이 꽃은 ‘남편의 성실성’이라는 ... ...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번에 처음 제안된 건 아니다. 하지만 데이비드가 선보인 에스컬레이터는 세계
최초
로 연속 나선형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금까지 제안된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는 일정 높이마다 기존 에스컬레이터처럼 걷는 구간을 두고 에스컬레이터가 이어진다. 따라서 구성이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물을 지지해야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의 과학자 휴 뢰브러는 케임브리지 행동연구센터와 공동으로 튜링검사를 통과하는
최초
의 컴퓨터 개발자에게 10만 달러(약 1억 1000만 원)의 상금과 금메달을 주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금의 주인공은 나타나지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컴퓨터의 무한도전 퀴즈대결서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수’에 문자 e를 사용했다. 그러다가 1736년에 출판된 그의책 ‘역학(Mechania)’에 문자 e가
최초
로 인쇄됐다. *자연로그자연로그는 오일러의 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이다. y=ex일 때, x=logey=lny를 y의 자연로그라 한다.*쌍곡선평면 위에 있는 두 정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로 이루어진 곡선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고 있다고 해서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과연 우리나라
최초
의 중성미자검출기가 세계
최초
로 중성미자의 비밀을 밝히는 영광을 차지할 수 있을까. 3년 뒤 좋은 소식이 들려오기를 기대해 본다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세대인 단백질 연구는 우리가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지난 1999년, 아시아
최초
로 프로테오믹스 연구기관인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을 세웠습니다.”국내 프로테오믹스 연구 선두주자프로테오믹스 연구의 핵심 기술은 시료 안에 들어 있는 다양한 단백질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다. ...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어린이 도서관인 ‘담작은도서관’에 40명이 넘는 어린이와 학부모들이 모였다. 국내
최초
로 자원봉사자들이 시도하는 과학 강연 나눔 행사인 ‘10월의 하늘’이 열렸기 때문이다. 10월의 하늘은 과학자나 과학 전공자들이 지역의 작은 도서관에 찾아가 무료로 강연을 하는 행사. 담작은도서관에도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KITECH HAND. 사람의 손동작을 완벽하게 재현할 목적으로 개발된 실험용 로봇손이다. 국내
최초
의 ‘덱스트러스(손가락 형)’ 방식의 로봇손으로 4개의 손가락 속에 총 16개의 관절이 들어 있다. 사과 같은 둥근 물건도 손끝만으로 잡을 수 있다(아래).]만들기 어려운 손가락 형그렇다면 로봇은 정말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
로 2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황당맨이 만났다. 유 교수는 2007년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제올라이트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끓는 돌’로 불리는 제올라이트는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