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지구를 떠나려면?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태양계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1972년 지구
최초
로 파이어니어 10호가 태양계 너머를 향해 출발했다. 하지만 파이어니어는 태양계를 벗어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 있다. 바로 탈출 속도다. 어떤 물체가 항성(또는 행성)의 중력장을 벗어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를 탈출 속도라고 한다.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학명(Spiraea)의 앞부분을 따서 아스피린이라고 지었다. 이렇게 해서 아스피린이라는
최초
의 실용적인 합성 약품이 탄생했다.아스피린은 뇌에 고통 반응을 보내는 화학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을 만드는 핵심 효소를 방해하는 일종의 효소 억제제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손상된 조직에 염증을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총 351일).미국과 러시아 화합의 상징아틀란티스호첫 비행 1985년 10월 3일주요 활약
최초
로 러시아 우주인들을 싣고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와 *도킹에 성공, 국제우주정거장 설치에 필요한 장비 및 스페이스랩 운송.특징 2011년 6월 말에 마지막으로 발사될 예정.*도킹 : 우주선이 다른 비행체에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 그녀는 누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독일의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제자가 됐고, 괴팅겐대에서 편미분방정식 연구로 여성
최초
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1888년에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한 고체의 회전문제에 관하여’란 논문으로 파리아카데미의 보르댕상을 받았다. 이 논문은 수리 물리학에 큰 공헌을 했다.20세기에 가장 주목할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자국 화석 1000여 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9500만 년 전 물갈퀴새 발자국, 아시아에서
최초
로 발견된 절지동물 생흔화석 등이 있는 ‘살아 있는 박물관’이다. 영월군 자연동굴은 대표적인 석회암 지대로 고생대 지층의 특성을 고스란히 갖추고 있다. 강원 철원군 한탄강 유역은 20억 년 전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후 1년 만에 감염 건수가 6배 이상 크게 늘었다. 용 교수는 2009년 12월 NDM-1 효소를 세계
최초
로 발견해 저널 ‘항균물질-화학요법’에 발표했다.1년 새 14개국 퍼진 슈퍼 세균NDM-1 생성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은 지난 2008년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처음 발견됐다. NDM-1 효소의 정식명칭은 발견된 지명의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저주파가 변형되는 패턴을 이용해 고주파의 변형을 보정할 수 있다. KVN은 이 기술을
최초
로 도입했다. 김 본부장은 “병원에서 엑스레이와 MRI를 따로따로 찍다가 한꺼번에 찍을 수 있게 된 것과 마찬가지”라며 “천체를 더욱 자세히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활동성 은하핵이 있는 M87 은하를 허블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고 있다고 해서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과연 우리나라
최초
의 중성미자검출기가 세계
최초
로 중성미자의 비밀을 밝히는 영광을 차지할 수 있을까. 3년 뒤 좋은 소식이 들려오기를 기대해 본다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실제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박사팀이 세계
최초
로 개발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덕분이다. 이 기술로 만든 떡은 시간이 오래 지나거나 냉장고에 보관해도 단단해지지 않고 말랑말랑하다. 냉동실에 꽁꽁 얼렸다가 녹여도 마치 방금 뽑아낸 것처럼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KITECH HAND. 사람의 손동작을 완벽하게 재현할 목적으로 개발된 실험용 로봇손이다. 국내
최초
의 ‘덱스트러스(손가락 형)’ 방식의 로봇손으로 4개의 손가락 속에 총 16개의 관절이 들어 있다. 사과 같은 둥근 물건도 손끝만으로 잡을 수 있다(아래).]만들기 어려운 손가락 형그렇다면 로봇은 정말로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