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방향에서 보이는 블랙홀 천체 ‘궁수자리 A*’가 그 예랍니다. ● 미니인터뷰 - 김영진(과학동아천문대 대장) “겨울 밤하늘의 다이아몬드를 찾아보세요!” 겨울은 춥지만, 공기가 건조하고 밝은 별이 많아 별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밝게 빛나는 1등성을 무려 7개나 볼 수 있죠.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4] 방 탈출 카페 주인 ‘세다리가도 몬나가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방 탈출 카페 ‘미궁’인가….” 그동안 여행을 다니느라 날카로운 추리력이 무뎌진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잃었던 감을 되찾기 위해 방 탈출 카페를 찾았다. 절대 일이 한가해서 시간을 때우기 위해 간 것이 아니었다. ‘미궁’에 들어서자 방 탈출 카페의 주인 ‘세다리가도 몬나가스’가 둘을 ... ...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용이 바다 위로 떠올랐다” 10월 24일, 중국 경제일보는 바다 위를 지나는 긴 다리의 사진을 실으며 이렇게 평가했어요. ‘강주아오 대교’를 가리키는 말이었지요. 23일 개통한 이 다리는 총 길이가 55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해상교량이에요. 중국 광둥성 주하이와 마카오, 홍콩을 연결하고 있지요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경우 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가 더 많아 기술개발이 더 어렵답니다. 작년에 진행한 수조 테스트를 통해 야라 버클랜드가 컨테이너 박스 120개 정도는 거뜬히 실을 수 있단 걸 확인했어요. 이 정도면 30t(톤)이 넘는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답니다. 앞으로 2020년, 실제 바다에서 테스트를 거쳐 2022년까지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 과정에서 고기압의 가장자리 일부가 분리되어 이동성 고기압이 돼요. 이렇게 만들어진 이동성 고기압은 날씨가 맑고, 바람이 세지 않은 게 특징이지요. 바람이 약하니 미세먼지가 멀리 퍼지지 않고 우리나라에 머물러요. 또, 큰 일교차로 밤에서 아침 사이에 안개가 발생하면, 대기 중의 습기는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망원경을 만들었어요.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감마선 천체를 찾기 위해 만들어진 인공위성으로, 2008년에 발사됐어요. 지구 대기가 우주에서 오는 감마선 대부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 위성은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우주를 관측하죠. 페르미 망원경이 10년 동안 관측한 천체의 목록이 3000개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하지만 실제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눈은 나카야 우키치로의 도표대로 나타나진 않아요. 현대 과학자들도 아직 눈송이가 특정한 모양을 띠는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지요. 다만, 눈송이는 주변의 습도가 높을수록 크고 복잡한 형태로 자라는 경향이 있답니다. 습도가 낮을 땐 상대적으로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멜라토닌을 비롯한 약물을 조금 사용하기도 한다. 연구 1 우주에 살면 눈이 나빠진다? 우주는 중력이 거의 없는 ‘미세중력’ 환경이기 때문에 신체 활동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생긴다. 이중 하나가 바로 ‘시력 저하’다. 실제로 많은 우주인들은 우주에 있는 동안 시력이 나빠지는 것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않을 수 있어요. 또 똥과 오줌으로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도 있어요. 농촌진흥청은 지난 달 소의 똥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지요. 미생물이 들어있는 연료전지에 가루로 만든 소 똥을 넣으면, 미생물이 이 똥을 먹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물을 만드는 거예요. 영국의 바스대학교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매리가 빨강이나 노랑의 느낌을 알 수 없다고 주장했어요. 나아가 이 세계가 자연과학의 진실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견해가 틀렸다고 주장했답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잭슨의 주장에 반대했어요. 자연주의 철학자 다니엘 데닛이나 신경철학자나 폴 처칠랜드 같은 이들은 매리가 모든 지식을 갖고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