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논문을 분석해 도시 개발로 생물 서식지가 분리돼 새로운 종이 생기는 등 인간이 다양한 진화 과정에 영향을 끼쳤다고 발표했지요. 예를 들어, 우연히 런던 지하철에 들어간 모기는 기존 집모기와 분리돼 살면서 겨울에 잠들지 않는 새로운 종이 됐답니다. ● 후보 6 정한길 기자 - 손가락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3회를 맞았어요. 이름 그대로 드론이 사람의 조작 없이 센서로 주변을 인식하고, 정해진 관문을 통과해 목적지까지 날아가는 기술을 겨루는 대회랍니다. Q 어떤 장애물이 있나요? 네모나 동그라미 모양의 장애물 속을 통과하거나, 시계처럼 계속 돌고 있는 시침을 피해 이동하는 미션도 있어요. ... ...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약 4000년 전 인간이 피라미드를 만들 당시 브라질 흰개미도 그들만의 왕국을 짓기 시작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어요. 지난 11월 19일, 영국 샐퍼드대학교 스티브 ... 마틴 연구원은 “아직 여왕개미가 발견되지는 않았다”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알을 낳고 죽게 된답니다. 그래서 이번 연어 탐사에서도 죽거나, 곧 죽을 듯 힘이 빠진 채로 유영하는 연어들이 곳곳에서 발견됐어요. 거친 파도와 강물을 거스르며 자갈, 모래 등에 찢겨 온 몸에 난 상처가 여기 오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지 보여 주었지요. 하천 옆에 죽어있는 연어를 본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동쪽으로 항해를 시작했다. 중국, 21세기 실크로드를 제안하다! | 2013년 9월, 중국 시진핑 주석이 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프대학교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일대일로’라는 21세기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일대’는 육상 실크로드, ‘일로’는 해상 실크로드를 뜻한다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2012년에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HVDC 해저 케이블이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까지 설치되기도 했답니다. 와! 이젠 전기를 보내는 케이블까지 전세계로 연결된다니, 내가 살던 때의 실크로드와는 완전히 달라졌구나! 앞으로 실크로드가 또 어떻게 바뀔지 정말 기대 돼! 또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물고기를 잡는 세 형제라고 보았답니다. 즉, 별자리는 어떤 과학적인 규칙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에요. 별을 보는 사람들이 마음대로 가까운 별들을 이어놓은 것이죠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단층에서 16km 떨어진 지역이다.이 때문에 리히터 규모 7.5의 지진을 이겨낼 내진 장치를 끼웠다. → 교통 체증을 없애라!해저터널은 지름이 13.7m(건물 5층 높이)인 대형 터널로 설계됐다. 상행과 하행이 아래위층으로 나뉘어 원래 100분이 걸리던 대륙간 이동시간을 15분으로 줄였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아두이노에 여러 전선을 연결하는 것이 조금 헷갈렸지만, 암호를 입력하고 해독하는 멋진 장치를 만들 수 있어 좋았다”며, “집에 가서도 친구들과 게임을 해 보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보고 우리 지구인의 존재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이 두 레이저는 모두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까지 도달한답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요. 강한 레이저가 우주 탐사기기를 고장 낼 수 있고 우주비행사들이 이 레이저를 보게 된다면 시력이 손상될 수도 있지요. 클라크 연구원은 “아직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