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 교수는 “꼭짓점에서는 지구와 인공위성의 만유인력이 훨씬 커지는 탓에 실제 지구에서처럼 안정적인 궤도로 돌지 못하고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 우주에서 정육면체 모양의 천체는 존재할 수 없다. 만약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땅이 거의 없다. 고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돌 수 있다. 중력은 지구의 여러 자연 현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태양과 지구, 달과 지구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은 밀물과 썰물을 만든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비 또는 눈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져 낮은 곳으로 흐르며 오랜 기간에 걸쳐 지표를 변화시키는 원동력 역시 중력이다. 사람의 귀에는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최고 자리를 유지할 전망이다. SLS는 탑재 중량이 팰컨헤비의 2배에 이르는 127t을 지구 저궤도까지 올려놓는 게 목표다. 첫 발사는 당초 2017년이었지만 계속 연기됐고, 2020년 이전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 우주 개발 시대 활짝팰컨헤비 발사 성공으로 우주의 상업화도 탄력을 받게 됐다. ... ...
- 교내 과학경시대회 잘 준비하는 법 (신과람 교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먼저 교과목이 중심이 되는 교과경시대회가 있습니다.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경시대회는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학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거의 대부분 교과 내용에 관련된 문항입니다. 교과 공부에 충실히 임해 준비하면 되죠. 올해부터는 1학년이 통합과학과 실험을 공부하게 됩니다. 이에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중 생명체라는 존재 또한 탄생하게 됐다. 이렇게 지구를 구성하는 지각과 암석 그리고 그 지구위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는 같은 재료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을 이루는 물질은 서로 다르다. 지각은 산소와 규소, 생명체는 산소와 탄소 지각과 생명체를 이루는 구성 물질은 많이 다르지만(아래 표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응용 가능해 많은 기대를 얻고 있다. 물리 문항교수 : 인공위성이 지구 중심으로부터 지구 반지름(R)의 2배에 해당하는 궤도에서 등속 원운동하고 있을 경우, 이 인공위성의 운동량과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변할까요?학생 : 운동량은 벡터량이므로, 속력은 일정해도 운동방향이 계속 변하기 때문에 ... ...
- [과학뉴스] 펠리칸거미 신종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속 독특하게 생긴 거미는 ‘펠리칸거미’예요. 1억 6500만 년 전 지구상에 나타났으며, 현재는 마다가스카르 섬에서만 드물게 발견되고 있지요.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한나 우드 연구원은 수백 개의 표본을 분석해 펠리칸거미 18종을 새로 발견했어요. 이들은 머리에 집게처럼 생긴 협각을 지니고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그 자리에서 해야 했지요. 발사는 성공적이었어요. 하지만 라이카는 돌아오지 못했어요. 지구 궤도를 4바퀴 째 돌던 중 발사 7시간 만에 스트레스와 뜨거운 온도에 의해 죽은 것으로 확인됐지요. 스푸트니크 2호는 과학자들에게 우주 공간에서 생명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귀중한 자료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기자가 질문했어요. 그러자 하헌필 본부장님은 “바람이 부는 현상은 온도와 위도, 지구가 자전하는 방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은 어렵다”다고 답하셨어요. 이어 “대신 과학자들은 질소산화물이 미세먼지가 되기 전에 없애는 방법을 고민하고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된다. 다시 암흑물질의 증거가 발견된 건 40년 뒤였다. 미국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지구에서 약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하면서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케플러의 법칙★에 따르면 은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물질의 회전속도는 가까운 물질보다 느려야 한다. 그런데 거의 비슷한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