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리잔으로 물질 밀도 알아맞추기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떠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기름 방울의 모양은 동그란 구모양이 된다. 그 이유는 기름 분자들끼리 잡아 당겨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려는 힘, 즉 표면장력 때문이다.액체 탑으로 알아본 물질의 밀도왜 그럴까?!밀도가 다른 여러가지 액체를 밀도가 큰 순서부터 차례로 조심스럽게 한개의 유리잔에 ... ...
- 국내 연구팀 선보인 꿈의 나노선과학동아 l2001년 10호
- 홍병희 씨는 원래 실험과는 거리가 먼 컴퓨터화학을 전공했다. 컴퓨터화학이란 컴퓨터로 분자나 화학반응을 설계하는 것. 그러나 홍병희 씨는 우연히 황산세슘(Ce2SO4)염과 아세톤을 이용해 유기 나노튜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튜브 안에 있는 질산은 용액에 빛을 쪼여 나노선을 합성하는 ...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열쇠가 특정 자물쇠에 들어맞듯이 나노튜브 끝에 붙여진 분자가 표면에 있는 특정 분자와 결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지금까지 설명한 SPM은 모두 하나의 탐침을 이용하는 경우다. 최근에 필자가 속한 연구팀에서는 하나의 탐침 대신에 2개의 나노 탐침을 이용한 새로운 SPM을 고안했다. 이름은 ...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빨라지는데, 이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몰리게 된다. 즉 안쪽 부분에 공기 분자가 적어지면서 진공이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진공력’이 생기며, 이 힘이 공기 중의 먼지를 빨아들인다.진공청소기 안으로 빨려 들어간 먼지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며, 깨끗한 공기만 모터를 ...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때문에 측정을 위해서는 시료와 전자총, 그리고 전자 검출기 사이에, 방해가 되는 기체분자가 거의 없는 진공상태가 확보돼야 한다.반면 SPM은 진공과 대기 중에서 모두 가능하다. 심지어 액체 속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동안 고배율로 관측하기에 힘든 시료도 관측이 가능해졌다. 아울러 ...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사실 키토산은 만병통치약이라 불릴 정도로 건강보조식품에도 많이 사용되는 천연고분자 물질이다. 3가 중금속과 강력한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에 홀뮴을 결합해 붙들고 있는데 문제가 없다. 그런데 연구팀이 키토산을 선택한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다. 키토산은 산성이면 액체 상태지만, 중성이면 ... ...
- 나노세계 조작하는 첨단의 손 원자현미경과학동아 l2001년 10호
- 1982년에 태어나 오늘날의 나노세계를 연 원자현미경.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어 제3세대 현미경으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현미경과는 차원이 다르다.원자수준으로 물질을 보는 것은 물론 원자와 분자를 조작할 수 있는 초소형로봇이다.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실제 반도체 공정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은 공기 중 습기에서 오는 물분자나 작은 기온변화에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진공이나 극저온을 요한다. 반면 생명체에 관계된 많은 물질들은 습기가 없는 진공상태나 극저온에서는 쉽게 망가지기 때문에, 생화학물질을 위한 리소그래피로도 ...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원자 분자의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나노과학자들은 SPM으로 어떤 작품을 만들었을까.SPM으로 드러나는 환상적인 나노의 모습을 슬쩍 엿보자.3차원의 화려한 SPM 영상이 모습을 드러내기까지의 과정이 그리 간단하지 않다. 단순히 SPM 탐침이 지나간다고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우성 SPM의 ...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시작했다. 1982년 최초의 DNA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가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유럽분자생물학연구실(EMBL)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후 미 국립생물정보센터(NCBI) 밑에 있는 GenBank와 일본 DNA정보은행(DBJ)도 데이터를 축적했다.1990년대 인간유전체사업이 본격화된 후 GenBank에 수록된 정보의 양은 해마다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