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해 잔존세포의 손상이나 이로 인한 식물체의 세균 감염 위험 등을 줄인다”고 설명했다.곽 교수가 이끄는 세포신호전달연구실은 탈리와 같은 식물발달,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세포 내의 신호를 파악해, 수확량을 증대시킨 식물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가령, 탈리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 ...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남과학고는 전남 지역에 있는 유일한 과학고로, 2014년 광주과학고가 영재학교로 전환한 뒤 광주 지역 학생들도 모집하고 있다. 과학고 입학을 꿈꾸는 전남·광주 지역 학생 이라면 조 ... 갖춘 학생이 유리하고, 팀 단위 연구가 많은 만큼 협업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 가지 종목이 생기고 우승자가 탄생하면서 하나의 스포츠가 된 것처럼 말이지요. 세 명의 선수는 이를 위해 하나의 회사를 만들었고, 지난해 6월에는 ‘제1회 무림페이퍼배 코리안 컵 종이비행기 대회’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등 다양한 놀이를 스포츠로 탈바꿈시키고 있답니다. 이승훈 선수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쉽게 예상할 수 있듯 친숙한 노래가 나오면 많이 따라불렀습니다. 스포츠 경기장에서 유명한 대중가요를 쓰는 의도는 아마 여기 있을 겁니다. 그리고 큰 장소일수록, 어린 청중일수록, 주말일수록, 그리고 음악차트 인기 순위에 오랜 시간 있는 곡일수록 많이 노래를 따라 불렀습니다. 연구에는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뇌를 모델링한다. 그는 인간이 의사결정을 하는 동안 뇌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 이론을 찾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뇌-기계 인터페이스(BMI·사람이 선택하면 로봇이 대신 행동하는 기술)나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정 교수는 매년 10월의 마지막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서든어택넥슨GT가 2005년 출시한 온라인 1인칭 슈팅게임(FPS)이다. 오래된 창고나 지하철, 하수도, 좀비가 출몰하는 구역 등 다양한 맵에서 각각 미션을 수행한 ... 현실 같은 물리 엔진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적었어요. 그런데 2017년 호주의 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 되면서 무려 이틀 만에 1만 명이나 참여했답니다. 마치 기적을 보는 것 같았지요! 올해 1월 발표된 ‘K2-138’을 돌고 있는 5개의 행성도 이때 발견한 거예요.Q앞으로도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할 계획인가요?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를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차지하면서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롯데월드타워에는 주사위만 한 크기로 성인 남성 10명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쓰였다. 메가기둥 구조에 코어 벽과 메가기둥을 단단하게 연결해 주는 ‘아웃리거 구조’와 트러스★를 이용해 메가기둥을 단단하게 연결하는 ‘벨트 트러스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육을 받았던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김동률 씨는 2017년에 유럽의 저명한 조합론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아직 학부생인 걸 감안하면 대단한 성과다. 김 씨는 2012년 제5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개인 순위 2위를 차지하며, 우리나라가 최초로 종합 1위를 하는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학의 서밋이다. 올해는 아주 작은 양자부터 무한한 우주까지 5개 분야에서 5명이 참석한다. 김상욱 경희대 교수(양자역학), 김재인 서울대 박사(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우주 날씨)이 서밋을 이끌어갈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