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유리하다. 인재상 - 에너지 문제 해결 꿈꾸는 인재“에너지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는 사명감이나 꿈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연구도 잘 하는 것 같습니다.” 황 학과장은 원자핵공학과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실제로 이런 생각을 가진 학생들이 좋은 성과를 내 왔기 때문이다. ...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그림을 베껴 그리고 하나씩 지워나가기로 했다. (*여러분도 풀어 보세요!) 병사가 1000명쯤 되지 않는 게 다행이었다. 죽은 병사의 자리에 ×를 치며 문제를 풀자 딱 두 자리가 남았다. 우리는 각각 한 자리씩 선택했다. 그리고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동시에 번호를 눌렀다. “축하합니다! 당신은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맑고 투명한 푸른색 바다. 그 바다와 함께 펼쳐진 모래 알갱이에 햇빛이 반사돼 반짝인다. 말 그대로 백사장. 어떠한 것에도 오염되지 않고 깨끗하게만 보인다. 하지만 모래 속에 ... 옮긴 기생충은 번식할 수 있는 만큼 반려견이나 주인 모두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 ...
-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강타자 박석민 선수는 다리를 움직이는 것을 넘어 몸 전체를 회전시켜버리는 일명 ‘트리플 악셀’ 스윙을 선보이기도 한다.박 선임연구원은 “최 프로의 스윙은 신체 조건을 이겨내기 위한 치열한 고민의 결과로 보인다”며 “보통 종목을 막론하고 선수들은 예쁜 자세에 대한 집착이 있는데, 최 ...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디젤차 2000대가 내뿜는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고, 1시간 운행할 경우 성인 4만2600명이 1시간 동안 마시는 공기가 정화된다”고 밝혔다. 기존 350기압의 두 배인 700기압의 높은 압력으로 연료탱크에 수소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수소탱크의 크기가 훨씬 작아진 점도 상용화를 이끈 요인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어요. 바다의 산성도가 높아지면 조개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껍질이 녹아 생명을 위협받고, 물고기들은 뇌와 중추신경계에 타격을 입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답니다. 지난해 7월 미국 애들레이드대학교 연구팀은 바다의 산성화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담당)는 “멀티는 어떤 기하학적 모양의 레일이라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멀티는 2020년 독일 베를린에 세워지는 ‘이스트사이드 타워’에 설치될 예정이다. 초고층건물에서 바라본 우주대기권을 뚫고 우주까지 높아진 초고층건물을 상상해보자. 초고층건물 꼭대기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리만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서검교 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브렌들 교수가 계속해서 좋은 연구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다고 생각한다”면서, “2014년에는 당시 수상자인 마리암 미르자카니 교수와 소속이 같고 나이가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육을 받았던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김동률 씨는 2017년에 유럽의 저명한 조합론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아직 학부생인 걸 감안하면 대단한 성과다. 김 씨는 2012년 제5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개인 순위 2위를 차지하며, 우리나라가 최초로 종합 1위를 하는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학의 서밋이다. 올해는 아주 작은 양자부터 무한한 우주까지 5개 분야에서 5명이 참석한다. 김상욱 경희대 교수(양자역학), 김재인 서울대 박사(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우주 날씨)이 서밋을 이끌어갈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