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고증을 거쳐 제작된 화전경작도를 보면 선사시대에 이미 평야나 산지에 불을 놓아
풀
과 나무를 태우고 밭을 일구어 피 조 기장 수수 콩 등 곡식을 가꾸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나무나 돌로 만든 따비와 괭이로 밭을 갈고 돌낫으로 곡식을 거두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선사시대에는 곡식이나 도토리 같은 ... ...
정글의 지게차 코끼리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나간다. 기계는 기름과 연료를 소모하나 코끼리는 작업장소의 도처에 깔려 있는
풀
들을 먹고 일을 한다. 물론 이러한 코끼리와 기계의 비교는 간단하지만은 않다. 코끼리는 연료가 들지 않는 대신 계속 사람이 곁에서 돌보아야 한다. 즉 매일 목욕을 시키고, 여러가지 의학적인 돌봄도 있어야 한다.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양피지 혹은 종이)의 낱장들이 나머지 것들의 위에 하나씩 쌓여지고 한 쪽 끝에 다같이
풀
칠이 되었다.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아는 책의 모습이다. 코덱스는 두루마리보다 훨씬 편리하다. 많은 페이지들이 한 번에 넘겨질 수 있어서 코덱스는 편리함의 상실없이도 두루마리보다 훨씬 크게 될수 있다. ... ...
하늘에 가장 가까운 나라 티베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뭉게구름이 파도치듯 움직이는 것이 보인다. 양떼인 것이다. 대지를 핥아나가듯이 짧은
풀
을 먹어 치워나가는 한무리 또 한무리…. 이런 양의 무리 무리가 고원을 가로 질러가고 있다. 목초지의 산은 히말라야에 어울리지 않게 마치 알프스의 광경과 같다. 이런 광경에 익숙해지면 야생동물들도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각 1백점, 내신 10%로 구성된 입학시험은 특히 수학과 과학의 경우 몇번의 단계를 거쳐야
풀
수 있는 문제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일반대학 입시 위주로 공부한 학생이 비록 석차가 우수한 학생이었다 하더라도 문제를 손도 못대는 경우도 많다. 매우 까다로운 절차로 말미암아 과학고등학교 이외에는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과반수 이상 붕어를 주식으로 하는 비오리와 잡식성이지만 물속에서 주로 식물성(
풀
과
풀
뿌리 등)과 약간(약 20% 미만)의 동물성(수중곤충 및 기타)먹이를 취식하는 흰죽지(오리)가 몰려들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비오리는 개발 전의 최대수 6백에서 개발 후에는 1천~3천1백가지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갈아 가루로 만들어 염료로 쓴다.꼭두서니의 잎은 소의 먹이로도 쓰였다. 그런데 소가 이
풀
을 먹으면 우유가 붉은 색깔로 되고 버터는 노랗게 되었다. 하지만 인체에 해는 없었다.꼭두서니는 고재 이집트 사람들이 이미 염료로 사용하였다. 이것으로 염색된 천이 미이라에서 나왔던 것. 염료는 1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소프트웨어공학 이론은 바로 불가능의 원칙하에서나마 최선을 다하여 기술적으로
풀
수 없는 문제를 제도적으로 헤쳐나가보자는 상식에서 비롯되었다. 품질보증단이라는 조직을 구성하여 개발 초기부터 완료시점까지의 개발방법론을 정착시켜 단계별 산출물의 질적향상을 꾀하고 전문 테스트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아직까지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두고 볼 일이다. 달 탄생의 수수께끼아직까지
풀
리지 않은 달에 관한 최대의 수수께끼는 달의 탄생 과정이다. 가장 오랜 학설은 달이 지구의 일부분이었다 떨어져 나갔다는 설명. 이미 19세기 말 대진화론자 다윈의 아들 조지 다윈에 의해 제창된 이 학설은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의문이 남는다. 또 본능이라고 보기에도 너무나 신기한 일이다.수족관에서는 더러 한
풀
에 있는 다른 종족의 동물이 그런 지경을 당했을 때도 그런 방법으로 돕는 예가 보고되고 있다.이와 같은 구조작업은 흔히 둘 이상의 돌고래가 협력하는 수가 많다. 피구조자를 양옆에서 부추겨올리는 것이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