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달리는 불이라고 이름 붙인 것으로 믿어진다.한편 15세기에 유럽에서는 로킷을 ‘
풀
라잉 파이어’(Flying Fire)곧 ‘나는 불’이라고 불렀는데, 이것 역시 로킷이 불을 뿜으며 날아가는 모습에서 따온 것으로 결코 우연한 일은 아닐 것이다.고려의 주화는 조선시대에 접어들어 여러가지 종류로 ... ...
각광받는 식용버섯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수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 버섯을 재배하려면 근처에 가공공장이 있어야만 한다.
풀
버섯의 다수확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농업기술연구소에서는 폐면퇴비재배쪽으로 연구중에 있다.버들송이버들송이는 최근 일본에서 ‘야나기마쓰다께’라고 부르는 버섯으로 활엽수와 침엽수의 ... ...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방법도 있겠지요. 윤 : 대단히 좋은 생각입니다. 버려진 땅이 많은 을숙도 등에 달
풀
(갈대의 일종)이나 찔레나무 같은 재래종 종자식물 또는 오리가 좋아하는 보리 밀 밭벼 등을 심어두면 철새들의 훌륭한 먹이나 잠자리, 은신처가 될 것입니다. 김 : 이번 탐사는 제가 새에 대해 관심을 갖게하는 ... ...
첨단기술이 낳은 「전자눈」「전자귀」군축협상이행 검증할수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일을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real time)으로 볼 수 있으며, 필요하면 확대해 호기심을
풀
수 있다.현재의 정보탐지능력은 정부가 공표하는 이상의 수준이라는 게 중론이다. 따라서 검증기술을 핑계로 군축협상을 게을리 할 수는 없다는 것. 결국 군축에 있어 기술은 있는 셈이어서 문제는 정치적 의지에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것이다. 또한 한지는 종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섬유상의 결합제로 전분이 많은 다년생
풀
인 황촉규를 사용한 것도 두드러진 특징. 일찍부터 목재를 종이의 원료로 사용한 것은 세계의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종이를 만드는 과정은 한지 양지 판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 ...
자동차디자인의 세계 새로운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차내부의 인테리어도 1대1의 비율로 모델을 만든다. 축소모델에 이어서는 역시 진흙으로
풀
사이즈 모델 즉, 실물과 크기가 같은 모델을 만들게 된다. 이것은 회사에 따라서 다르나 최소한 2개 이상 만드는데 전문평가자들에 의해 차의 스타일뿐 아니라 경제성 등을 평가받게 된다. 이때 풍동실험을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나아가길 원한다. 이곳은 사방 3백km가 넘는 광활한 사막지대로 구름 한점, 비 한방울,
풀
한포기, 심지어 모래먼지 하나 없는 지역이다. 하루종일 태양이 하늘에서 이글거리고 있다. 거대한 지역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에는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여기에서 부터 독일에 수소를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지정돼 멸종되기 쉬운 남극고유의 포유동물 새 및 식물화석 등을 보호하고 있다. 개를
풀
어 놓아서는 안되며 새와 물개의 부화시기엔 사람이 걸어다니면서 이들을 교란시켜서도 안되게 돼있다. 또 과학적 특별관심지역 21개소도 지정돼 있다. 특별보호구역은 일반인의 출입을 막는 반면 과학적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사과등을 재배하는 농가가 많다. 가을이라지만 녹색이 짙은 방목장에서는 소가 한가로이
풀
을 뜯고 있고 나무들 사이로는 들새가 날고 있으며 다람쥐나 토끼가 놀고 있는 모양을 보면 원자력발전소 사고의 영향을 전혀 느낄 수 없을 정도다. 그러나 주민들은 새나 작은 동물들을 볼수 있게 된것은 ... ...
대륙붕 천연가스층 발견의 숨은 주역 강주명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수 없어야만 되는 것이지요. 쉽게 말해서 해저의 지층속에 가스나 기름이 고여서 커다란
풀
을 이루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륙붕지역은 이런 지형조건은 갖추었는데 막상 뚫어보니 그속에 기름이 안들어 있었던 형국이었어요. 그런데 이번에 탐사시추정을 뚫어 가스를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