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빙하기 한반도는 너구리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한국과 중국 너구리는 각각 0.4%, 0.6%로 차이가 적었어요. 이건 한국을 포함한 대륙 쪽 너구리와 일본 너구리 사이의 교류가 매우 힘들었다는 사실을 의미해요.그게 어떻게 한반도가 피난처였다는 이야기가 되지?빙하기 때 한반도 주변의 환경은 닥터 그랜마가 살고 있는 2만 년 뒤와 매우 달라요. ... ...
- 이열치열 불타는 취재, 가장 더운 곳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지난해 5월 9일 발간한 ‘한국기후도’에서 한반도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제주도 남쪽에 있는 서귀포를 꼽았어요.*열섬현상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도심지가 다른 지역보다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 주변보다 특별하게 기온이 높은 지역을 열섬이라 한다.지구에서 가장 ...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집으로 돌아가서 몇 달이 지났는데, 다리가 계속 아픈 거야. 병원에 갔더니 무릎 뒤 살 안쪽에 작은 따개비가 빽빽하게 자라나 있….”“꺄아아악!”괴담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라! 따개비가 정말 몸에서 자랄 수 있을까?“바다에서까지 왜 그래!”“그…, 그치만 재미가…. 내 무릎에 따개비 자라면 ... ...
- 한눈에 보는 지구 산림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옅은 녹색이나 베이지색으로 표시돼 있어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산이 많은 동쪽 지역은 색이 진하지만 서울 부근은 베이지색에 가깝지요.NASA는 얼마 전 1년간의 산림 사진 데이터를 모아 영상으로 공개했어요. 1년 동안 지구의 산림이 어떻게 자라고 또 파괴되는지 한 눈에 볼 수 있지요.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모양에 기분까지 좋아진단다~.둘이 사이좋게 더블 우산우산 하나를 둘이 나눠서 쓰면 한 쪽 어깨가 젖는 경우가 많아. 하지만 우산 두 개를 붙여 놓은 것 같은 더블 우산이라면 어개가 젖을 걱정 없이 사이좋게 우산을 함께 쓸 수 있겠지?어때? 멋진 우산이 정말 많지? 디자이너들의 기발함에 정말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계란형으로 둥그스름하고 머리 부분은 자라와 비슷하게 생김. 머리 쪽에 두 쌍, 꼬리 쪽에 두 쌍의 다리가 있음.먹이: 사람이나 동물의 각질관련 질병: 옴, 피부염잠깐! 모낭진드기가 많으면 머리카락이 빠진다고?보통 사람의 건강한 피부에는 표면 1㎠당 1마리 정도의 모낭진드기가 살고 있어요.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동한다(탈수작용). 이 때 배추의 수분만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다. 미생물의 세포막 안쪽에 있는 수분도 빠져나가며 미생물을 죽게 한다.그렇다면 김치는 왜 ‘소금’에 절일까. 과거에 소금은 아주 귀한 식재료여서 음식에 사용하기 어려웠는데도 말이다.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다른 절임과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하는 추세지만, 아직 논란이 많은 주제”라며 “적어도 신생아 포경수술은 권하지 않는 쪽으로 기울었다”고 말했다. 자라면서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굳이 태어나자마자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1999년 미국소아과협회는 일상적으로 권할 정도로 신생아 포경수술의 잠재적인 이익이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속도였다. 여행을 좋아하고 늘 위험한 상황과 맞부딪치기를 좋아해서 진화선의 방향을 그쪽으로 잡았던 것이다.그리고 나에게는 반입자가 있었다.나는 살육과 충돌의 한복판에서, 정화파와 진화파가 존망을 걸고 상대를 파괴하는 현장에서, 소박하고 간단한 단 하나의 파동함수가 1에 수렴하도록 온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있는 표준자를 찾는 것이다. 표준자는 이미 길이를 알고 있는 대상으로 관측점에서 양쪽 끝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그곳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우주의 구조가 열쇠그러나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암흑에너지와 수정중력 중 어느 것이 답인지 구분할 수가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