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사용하는 유전자의 차이 때문이다. 유전자 자체는 전체 계획을 담은 설계도일 뿐이며, 실제로는 어떤 유전자를 얼마나 사용하느냐에 따라 세포의 기능과 역할이 결정된다.세포가 사용하는 유전자를 어떻게 알아낼까. 답은 세포 안에 있다. 마치 교과서에서 시험에 나올 부분만 골라 노트에 ... ...
- 실감형 스마트워크 - 회사는 일주일에 한 번만 간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텔레프레즌스’ 기술이 바로 그것이다. 고화질 비디오, 오디오 기술 같은 핵심기술로 실제로 서로 마주한 듯 회의를 하고 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는 “책상 위의 인쇄물을 손짓만 해도 상대방에게 문서파일을 알아서 전송하는 것이 ...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떨어뜨린 표면은 둥근 ‘입자형’, 그 밑으로 자라난 얼음은 길다란 ‘기둥형’이다. 실제 극지 얼음의 결정구조와 비슷하다. 극지 얼음은 표면에서 약 2cm까지는 작고 약한 얼음이 파도에 밀리며 성장했기 때문에 결정 구조가 불규칙하다. 그 뒤에 아래로 자라면서 서로 이웃한 얼음 결정 사이에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휴먼브레인프로젝트보다는 느린 편인데, 연구 범위가 넓고 특히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제 뇌를 연구하기 때문이다.‘브레인액티비티맵’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계획은 뇌지도 자체는 물론, 뇌지도를 구축하는 도구(실시간 영상장비), 그리고 뇌의 기능을 연구하는 데까지 초점을 맞추고 있다. ... ...
- 마술 부리는 행성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7개의 천체 모습을 고스란히 담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고해상도 이미지로 실제와 거의 똑같이 만들었다. 거치대를 각 행성을 탐사한 대표 탐사선의 모양으로 만들어재미를 더했다.행성을 공중에 띄워보자. 전원을 연결한 뒤 행성본을 적당한 위치에 놓으면 된다. 중력과 자력이 만나는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틀린 말을 듣거나 보면, 그것이 강연이든 책에 적혀 있는 것이든 나는 참을 수 없어서 실제로 몸이 아플 정도가 된다”고 할 정도였다.그래서 필자가 학생 시절에도 ‘세르 앞에서는 감히 강의를 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우스갯소리로 돌곤 했었다. 잘못해서 틀린 내용을 이야기하면 눈앞이 노랗게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눈에 보이지 않는 구멍이 많아 메틸렌블루 용액의 푸른색을 빨아들인다. 정수장에서는 실제 250개나 되는 관문을 이용해 물을 정화한답니다.우와! 정말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겠네요.그럼요.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을 바로 받아서 마셔도 아무 문제없답니다.깨끗한 물을 더욱 맛있게!하지만 전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않고, 오로지 화학물질로만 만들어내야 한다. 하지만 인류 최초로 컴퓨터가 아닌 실제 인공생명체를 만드는 연구에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도전! 인공생명체 만들기근데 말이야. 당신 말을 듣다 보니 나도 인공생명체를 한 번 만들어 보고 싶은데…. 방법이 없을까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곳에서 그는 훗날 양자역학이라 부르는 새로운 이론을 완성했다.하이젠베르크는 실제 관측 가능한 것만 가지고 물리법칙을 만들어야한다는 철학을 갖고 있었다. 원자에서 관측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전자의 궤도운동을 직접 본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사실 가능할 것 같지도 않다. 실험에서 ... ...
- 폭력 게임 좋아하면 범죄자 된다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념이다.지금까지 연구자들이 논문에서 사용한 개념은 대개 전자보다는 후자였으며, 실제 연구도 주로 공격적 행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즉, 게임이 공격성을 높인다는 연구는 폭력적 게임을 한 사람들이 물리적 폭력을 행사했음을 보인 게 아니라, 상대에게 거슬리는 소음을 들려주는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