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3가지 규칙으로 알록달록 꾸미는 아홉 색깔 큐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8+12+6+1=27개로 하나의 3×3×3 큐브를 구성한다.이제 3×3×3 큐브의 6개 면에 9가지 색이 모두 보이게 큐브를 배치해보자. 먼저 3×3×3 큐브에 들어간 1×1×1 큐브의 보이는 면의 개수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1, 2, 3을 표시한다. 1이 표시된 큐브는 1개의 면만 보이고, 보이는 면이 없는 중심에 위치한 큐브는 ...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방식이나 삼성의 기어 등 대기업에서도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스타트업업이 모두 힘을 모으고 있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규제가 심해 이쪽 분야가 활발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복부비만의 척도로 쓰이는 허리둘레는 임상적인 척도지만, 공식적인 지표로는 사용이 힘들죠. 앞으로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DBP), 부틸벤질프탈레이트(BBP) 등 주로 프탈레이트 계열 물질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지정한 유해물질로 등록돼 있다. 특히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2B등급 발암물질로도 지정했다. 유 책임연구원은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사용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과 1인당 에너지 사용량은 모두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는 온실가스, 특히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일 새로운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그 가운데 자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땅에 묻을 수 있는 ‘블루카본’이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큐비트’가 필요해. 큐비트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구글과 IBM은 모두 ‘초전도 방식’을 이용해 큐비트를 구현했지.초전도 방식은 절대온도 0K에 가까운 낮은 온도에서 큐비트를 작동시킨다는 점이 특징이야. 큐비트는 일반 컴퓨터에 비해 신호의 크기가 매우 작은데다 신호를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제품을 사가는지 알고 있었을 거예요. 하지만 이런 데이터들은 한번에 분석할 수 없이 모두 여기저기 흩어져 소규모로 관리됐어요. 반면 지금은 모든 사회 교류가 컴퓨터 시스템에 기록되는 시대예요. 컴퓨터 시스템을 거치는 소통의 가장 큰 차별점은 반드시 모든 정보가 ‘저장소’를 거친다는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사람이 만들어낼 수 없는 입자이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액체의 움직임은 모두 우주에서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들여다보고 있으니 마치 외계인과 대화를 하는 기분이네요!이렇게 예술 작품 속에도 수학적 지식이 담겨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김윤철 작가는 “수학과 예술은 멀리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차례차례 찾아 나가는 ‘단순탐색법’과 반씩 나눠 답을 찾아가는 ‘이진탐색법’은 모두 탐색 알고리듬입니다. 하지만 효율성에는 큰 차이가 있죠. 100개의 수 중에 하나를 고르는 문제처럼 단순한 경우에는 알고리듬의 효율성이 금방 드러나지만, 문제가 복잡할수록 어떤 알고리듬이 더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짧지만, 유학생인 내게는 겨울방학이 여름방학보다 더 좋다. 겨울방학에는 학교 시설이 모두 문을 닫는 만큼 기숙사에서 쫓겨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미국인 친구들도 대부분 일주일 정도는 집에 가거나 근처 친척 집에서 지낸다. 한국인 유학생도 대부분 한국에 온다. 내게 겨울방학은 해야 할 ...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염 물질의 양을 분석하면 해양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답니다. 우리나라 삼면 바다에 모두 살고, 텃새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만의 자료가 담겨 있지요. 연구자들은 괭이갈매기를 직접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대신 괭이갈매기가 낳은 알을 분석해 해양 환경의 변화를 알아낸답니다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