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09
- 만들었다. 먼저 뇌 전체의 MRI 영상을 찍고 조직과 해부학적 구조를 촬영한 뒤 뇌를 약 1000개의 조각으로 잘게 잘라 부위별로 전사체를 분석했다.한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뇌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의 전체 지도, 즉 뇌단백질체(프로테옴)지도를 만들고 있다. 유전자를 사용하는 과정의 중간 결과물이 ... ...
- 죽었다가 부활한 ‘나사로 혜성’과학동아 l201309
- 결과가 나왔다.콜림비아 아니토퀴아대 연구팀은 화성과 목성사이의 소행성대에서 혜성 12개를 발견했다. 이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수백만 년 전 소행성대가 혜성으로 가득 차 있었다는 가설을 세웠다. 오늘날 보이는 혜성은 화려했던 과거의 잔여물이라는 것.혜성은 지름 수km에 달하는 ... ...
- 마술 부리는 행성본과학동아 l201309
- 이어 공중부양 행성본이 나왔다. 달,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7개의 천체 모습을 고스란히 담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고해상도 이미지로 실제와 거의 똑같이 만들었다. 거치대를 각 행성을 탐사한 대표 탐사선의 모양으로 만들어재미를 더했다.행성을 공중에 띄워보자.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09
- 보지만 모자이크처럼 흐리다벌이나 잠자리는 수많은 낱눈이 모여 만들어진 겹눈으로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360° 가까이 볼 수 있다.이런 원리를 모방해 광각 카메라를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곤충이 광각 카메라만큼 선명하게 본다는 뜻은 아니다. 곤충이 보는 세상은 모자이크 같은 엉성한 형태다.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09
- 만들었어요. 한 가지 요리를 각기 다른 면으로 만들어 시식하니 무척 즐거웠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세몰리나에 달걀을 넣어 만든 봉골레 파스타가 가장 맛있었어요. 쫄깃하면서도 고소한 달걀 맛이 느껴지고, 면의 노란 빛이 무척 맛있어 보였거든요.결국 그날 저녁, 실습실에서 배운 대로 집에서 ... ...
- 빅 데이터와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과학동아 l201309
- 저장’이 더 유리합니다. 두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개발한 것이 바로 하나(HANA)입니다.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가 따로 존재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생기는 비효율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어떤 학생을 원하는지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09
- 않는 구멍이 많아 메틸렌블루 용액의 푸른색을 빨아들인다. 정수장에서는 실제 250개나 되는 관문을 이용해 물을 정화한답니다.우와! 정말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겠네요.그럼요.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을 바로 받아서 마셔도 아무 문제없답니다.깨끗한 물을 더욱 맛있게!하지만 전 수돗물을 마시기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09
- 프랑켄슈타인 박사, 당신이 날 이렇게 흉측한 모습으로 만든 건가? 죽은 사람도 소중한 법인데, 시체들을 훼손해 괴물을 만들어 내다니…. 당신은 악마 ... 이용하면 1차원 세포자동자의 일종인 인공생명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지. 앞에서 소개한 ‘롤 30 세포자동자’를 함께 만들어 보자구 ... ...
- [수학뉴스] 선수별 득점을 예측하는 ‘점쟁이 축구 통계’수학동아 l201308
- 시즌에 대해서도 선수별 예상 득점을 구할 수 있다.산체스 교수는 “팀이 아닌 선수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춘 수학 연구는 처음”이라며, “데이터만 충분하면 다른 국가의 축구 선수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유럽스포츠과학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08
- 때문이다. 따라서 병들을 상자 벽에 밀착해 정사각형 방식으로 채우는 게 낫다. 병의 개수가 많아지면 모서리 효과보다 병들 사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17세기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작은 입자들의 부피를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배열해야 하는지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