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6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절 모여도 스마트폰만 본다…'휴먼 스크리놈' 필요한 시대동아사이언스 l2020.01.24
- 국제 학술지 ‘네이처’ 뉴스 사이트에는 바이런 리브스 미국 스탠퍼드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와 토머스 로빈슨 스탠퍼드대 아동건강 및 소아청소년과 교수, 닐람 램 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 교수가 ‘코멘트’ 코너에 인간 유전체를 분석하는 ‘휴먼 게놈 프로젝트’를 빗댄 ‘휴먼 스크리놈 ...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박쥐→뱀→사람' 순으로 전파" 中연구진 확인 동아사이언스 l2020.01.23
- 우한 폐렴에 걸렸을 것으로 분석했다. 피터 라비노비츠 미국 워싱턴대 직업환경건강학과 교수는 "야생에서는 여러 동물 숙주를 거치면서 바이러스 변종이 나타날 위험이 크다"며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바이러스성 감염질환이 자꾸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 맛있는 에스프레소를 과학적으로 뽑는 법동아사이언스 l2020.01.23
- 헨든 미국 오리건대 생화학과 교수와 제이미 포스터 영국 포츠머스대 수학및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커피 원두를 거칠게 갈고 물을 적게 써야 최적의 에스프레소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물질’ 2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 원두를 갈아 만든 입자의 거칠기와 표면적 ... ...
- 우한 폐렴 슈퍼 전파자 발생 가능성 커져…전문가들 "감염자 이미 1000명 이상 추정"동아사이언스 l2020.01.22
- 전염을 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리차드 슈타인 미국 프린스턴대 분자생리학및생물물리학과 교수팀은 2011년 '국제감염질환학지'에 낸 연구 결과를 통해 "2003년 이후 사스가 대규모로 발생한 사례가 없는 이유는 슈퍼 전파자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감염질환 발생시 슈퍼 전파자를 조기에 ... ...
-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치료제 없는 이유는 돌연변이 잦은 탓동아사이언스 l2020.01.22
- 가능성을 높인다는 얘기다. 마리온 쿠프먼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의대 바이러스과학과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거나 확산을 방지하려면 먼저 이 바이러스를 사람에게 옮긴 동물을 찾아내고 이후 감염자들이 어떤 경로로 전염됐는지 명확히 밝혀내야 한다"고 ... ...
- 원자력 전공 대학생 단체, 원전 건설 재개 찬반 의원 명단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0.01.21
- 서명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녹색원자력학생연대 제공 전국 16개 대학 원자력공학 관련 학과 학생으로 구성된 녹색원자력학생연대가 이달 21일 원자력 발전을 지지하는 20대 국회의원 명단을 공개했다. 학생연대는 이달 14일 ‘미세먼지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 정책 제안 및 ... ...
- [우한 폐렴 비상]기내 감염 위험 없나…전문가들 "마스크·손씻기 권고" 동아사이언스 l2020.01.20
-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지난 2018년 미국 에머리대 바이오통계 및 정보학과와 조지아공대 수학과, 보잉사 연구팀은 환자가 외부와 밀폐된 비행기에 탔을 때 기내 감염 가능성에 대한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국제학술지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논문은 자리에 앉아 있는 환자의 ... ...
- 종이보다 수만 분의 1 얇은 평면자석 세계 첫 합성 동아사이언스 l2020.01.19
- 연구위원(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와 심지훈 포스텍 화학과 교수, 최시영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존 2차원 자성물질은 극히 드문 데다, 대부분 전기가 흐르지 않거나 극저온(영하 200~영하 50도)에서만 자성이 발현돼 활용도가 적다는 것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분자간 정전기적인 ...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2020.01.18
- php?number=25614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2020.01.17
- xe/news2/122875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