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많아요. 그런 문제를 푸는 것이 공학이나 과학하는 사람이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요.(학생들이 웃기만 하자 교수님이 말을 이어갔다)이런 질문을 하면 다들 자신감이 없어서 대답을 잘 못해요. 가장 중요한 것이 자신감이에요. 어떻게 해야 자신감을 키울까요. ‘이 세상에 나란 사람은 오직 하나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문계열은 사회! 자연계열은 과학!국가 교육과정에는 계열 구분이 없지만 일선 학교, 특히 일반고에서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을 나눠서 교육과 ... 하는 스타일이면 자연계열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것이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 ...
- 스타워즈의 ‘옥에 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옥에 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라이스터대 물리학과 석사 과정에 재학중인 학생 네 명은 우주선이 광속에 가까워질 때 전방에 보이는 실제 모습을 계산해 논문으로 작성했다. 이 논문은 창의적인 연구를 독려하기 위해 학교에서 발행하는 ‘독특한 물리학 저널’에 실렸다.연구에 따르면, ... ...
- '마의'처럼 말과 교감하는게 중요해요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영어로 묻다가 무의식적으로 우리말을 몇 번 했는데 자연스럽게 대꾸해 깜짝 놀랐다. “학생들도 한국말을 못 알아듣는 줄 알고 자기들끼리 이야기하다가 제가 그걸 영어로 되물어보니까 당황한 적이 몇 번 있어요.”말 의학은 까다로운 스포츠 의학한 교수는 말의 치료가 다른 애완동물과 다른 ...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더 든다. 하지만 하는 게 좋다고 말한다. 그야말로 연구원의 봉사가 되겠지만, 그 결과 학생의 경험도 늘어나고 연구원도 미래의 연구원을 키우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우리의 연구원이 그 정도의 역량은 갖길 기대한다고 썼다.대덕연구단지에서의 생활뿐만 아니라, 미디어와의 관계, 정치,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이야기를 엮은 책을 쓰고 있어요. 예를 들어 한 반에 23명의 학생이 있다면, 최소 2명의 학생이 생일이 같을 확률은 50%에 가깝다는 생활 속에서 생각할 수 있는 확률 문제지요.Q 로버트, 당신도 운을 믿나요?운에 대해 특별히 생각해 본 적은 없어요. 우연과 같은 상황이 나에게도 일어나지만 말이에요. ...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위대한 철학자이자 수학자이시죠? 그런데 세상에는 수학을 죽기보다 싫어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이런 부정적 에너지가 전 우주에 전염되고 있어요. 그리고 저희 세계의 수학자들은 이것이 우주에 어떤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거란 우려를 제기했죠. 저흰 이 현상을 조사하고 막는 역할을 하기 위해 ...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새로운 이슈가 나오는 거예요.면접을 해보면, 로켓을 쏘겠다거나 로봇을 만들겠다는 학생들이 요즘 많아요. 물론 꿈을 갖는 것도 좋지만, 너무 크고 멋진 비전에 대해 강박관념이 있는 것 같아요. 저도 옛날부터 벼룩 로봇 만들겠다는 마음을 먹어서 지금 이런 연구를 하는 게 아니에요. 여러 경험이 ... ...
- 기계공학, 바이오로보틱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최신 생체모방 분야까지 소개합니다. 약간 지루한 감도있지만, 생체모방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좋은 아이디어를 ‘득템’할 수 있는 반짝이는 힌트가 많습니다.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가 EBS에서 강의한 다윈지능 의생학편을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입니다.고급생명과학 교과서의 인공지능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살펴보면 시대에 따라 선호 직업이 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0~80년대 대부분의 남학생들은 대통령이 꿈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아인슈타인처럼 과학자를 꿈꿨죠. 군인도 인기가 많았습니다. 90년대 들어서는 전문직이 각광을 받았어요. 1위가 의사, 2위가 변호사, 3위가 선생님이었죠. 그리고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