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기한 세계, 박막 및 미세조직공학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박막이란 영어로 thin film이라 부릅니다. 두께가 수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인 아주 얇은 막을 말합니다. 최근 전자기기의 집적화 및 초소형화 흐름에 맞춰 그 역 ... 도전정신이 필요합니다.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도전 과정을 즐길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진
학생
이라면 딱 이겠죠 ... ...
➎ 황농문 재료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공대 공통으로 필요한 소양도 있어요. 바로 ‘도전정신’이에요. 도전정신이 있는
학생
들이 성과가 좋아요. 모르는 문제를 해답을 보지 않고 풀면 기를 수 있어요. 계속 도전해서 이겨내는 거죠. 그러면 머리가 좋아지고 사고력이 ... ...
우리는 즐거운 과학토론 촉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토론대회 현장이냐고? 아니다. 이곳은 대성여고 MnO2가 과학실에 삼삼오오 모여 앉아 열띤 토론을 벌이는 과학실이다.매달 두 번째 주 월요일 저녁시간에 ... 요즘 과학기술분야는 협업이 중요하다. 그만큼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능력이 중요한데 MnO2
학생
들은 이미 그 능력을 기르고 있었다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겨울에 자라는 식물은 긴 겨울을 거치지 않으면 꽃이 피지 못한다. 1960~1970년대 초등
학생
들은 겨울이면 단체로 보리밟기를 나가곤 했다. 가을에 싹이 튼 보리가 너무 웃자라 겨울에 얼어 죽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결국 식물이 적당한 계절에 꽃을 피우게 되는 것은 광주기와 온도를 인지하는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개발하고 운영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홍 팀장은 “우리나라도 연구자들이
학생
시절부터 경험을 많이 쌓을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도록 사운딩 로켓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우리나라도 사운딩 로켓을 개발한 경험은 있다. ‘과학로켓’으로 알려진 KSR-I, II, III다. 1993년 발사된 ... ...
성적, 잘 받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리가 없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데도 훈련이 필요하고 과도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
들은 스스로의 노력을 과대평가합니다. 남들 하는 만큼 하는 선에서 끝내고는 할 수 있는 최대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선을 넘어야 합니다. 더 이상 못 할 것 같은 그 순간을 버티고 괴로움을 ... ...
신나는 과학잡지 만들기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성취감과 스트레스 모두가 진로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하이 바이오
학생
들이 가야할 길은 아직 멀다. 점심 메뉴와 졸음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기사를 쓴 백석고 과학동아리 BiC의 유혜원
학생
(3학년)은 “동아리 시간 내내 무슨 기사를 쓸 지 회의만 하다 끝난 적도 있다”며, ...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우연히 다른 논문을 보고 촉각센서에 접목하면 되겠다고 해서 연구한 거예요. 처음엔
학생
이 재미로 해본 거예요. 그렇게 연구한 것이 유명한 학술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실렸죠. 우연이 아니에요. 계속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해봐야 그런 기회가 오는 것입니다. 아무 노력도 않고는 오지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3학년
학생
한 명당 교과서 10권 이상씩 약 10그루의 나무를 낭비하는 것으로 전체 고3
학생
들로 보면 약 6백만 그루의 나무를 잘라 버리는 것이다. 또 그렇다고 교과서가 폐지를 재활용해서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다. 폐지로 새 종이를 만들게 되면 나무로 만드는 것보다 에너지 소비가 30~50% 정도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에 이와 비슷한 상황이 나오는데, 그럴 듯해 보였기 때문이다. 여기에선 신비로운 교수가
학생
들을 시켜 인쇄 기계로 무작위한 문자열을 찍어 내게 하는데, 결국 그 결과를 모아 과학 지식의 목록을 작성한다.이후 이런 생각은 프랑스의 수학자 에밀 보렐에 의해 원숭이가 무한히 오랜 시간 동안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