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한국이 포함된 국제 연구팀이 약 8000년 전 신석기 시대 동굴에서 발견된 두개골의 게놈을 분석해 한국인의 유전적 조상을 찾았다고 학술지 ... 연구 책임자인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은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8000년
간
외부유전자의 유입 없이 유전적 연속성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날숨만으로 후두암과 위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위해 추가연구를 할 계획이다.공동 연구자인 쉬레즈 마커 임페리얼칼리지 의대교수는 “
간
편하게 후두암이나 위암을 잡아내는 1차적인 검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선택한 소아·청소년의 95%는 24시
간
안에 증상이 호전돼 수술 없이 퇴원했다. 또 1년
간
추적 조사한 결과 보존적 치료를 한 경우의 75%는 급성 충수염의 재발이 없었다(doi:10.1001/jamasurg.2015.4534).애초에 급성 충수염에 걸리지 않는 방법은 없는 걸까. 파커 교수는 “충수가 있는 다른 동물들은 사람처럼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구분할 수 있다. 폐쇄발목링은 앵무새가 태어난 지 2주 이내에만 발에 끼울 수 있고 이 기
간
이 지나면 옮겨 끼울 수 없기 때문이다. 폐쇄발목링이 잘려 있다면 불법 개체라는 사실도 바로 알 수 있다. 다른 동물의 경우 현재 반려견에 사용하고 있는 신체 삽입형 마이크로칩으로 개체 구분을 할 수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원리를 따르면, 어떤 형질이 개체
간
의 선택으로 이미 잘 설명되는데 이유 없이 집단
간
의 선택을 내세워선 안 된다고 윌리엄스는 강조했다.예를 들어, 괭이갈매기가 자발적으로 산아제한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개체 수준의 이기성으로도 잘 설명된다. 무조건 자식을 많이 낳는 게 능사가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있는 래브라도 리트리버 ‘칼리’의 모습이다. 그레고리 교수는 그의 책 ‘반려견은 인
간
을 정말 사랑할까?’에서 “세계에 7억 마리의 개들이 있으므로, 단 2마리의 개를 이용한 연구를 너무 확대해석하지 말라”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그레고리 교수 이후 수십에서 수백 마리까지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말레이시아 6개국에서 온 청소년 88명으로 구성됐다.원정대는 2017년 1월, 8박 9일
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해외 캠프를 다녀왔다. 원주민 마을인 찬캇 빙탄(Chankat Bintang)에 방문해 주민들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지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했다.원정대가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수온이 겨우 0.5℃ 증가해서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116쪽 참조).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인
간
에 의한 기후변화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내고 있다. 이들이 공고한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어서 기후변화에 회의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주목받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내에서는 특히 찾기가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다른 시신경세포까지 영향을 준다. 영상이 흐릿하게 번져 보이게 된다는 뜻이다. 수십 년
간
의 생체공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 없다.Optogenetics최근에는 완전히 다른 방식을 시도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광유전학이다. 망막 시신경세포에 채널로돕신 단백질을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안 된다. 그러나 공학, 특히 로봇공학은 특성상 상용화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데도, 그
간
이와 관련된 논의가 적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돼 더 많은 기술이 세상으로 나오길 기대해본다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