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가 보여준 결과는 놀라웠다.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는 모두 똑같은 온도였다! 각자 다른 방향에서 왔는데 어떻게 서로 짠 것처럼 온도가 같을 수 있었을까?제주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 두 대를 띄웠다고 해보자. 두 배는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같은 속도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귀여운 애완동물, 햄스터 기르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마 햄스터를 애완동물로 기르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저도 햄스터를 기르고 있는데, 기사를 쓰는 중에도 제 햄스터는 열심히 해바라기 씨를 갉아대고 있습니다. 오늘은 햄스터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까요?햄스터의 수명은 약 3년으로, 번식을 매우 잘 합니다. 몸의 크기는 3~15cm로 다양하지요. ... ...
- INTRO. 빅뱅의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아인슈타인, 프리드만, 허블, 가모프. 우주의 신비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이다. 이들의 노력 덕에 인류는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게 됐다. 하지만 우주 탄생의 순간이 어땠는지는 추측만 할 뿐이다. 지금까지 그곳으로 가는 문은 굳게닫혀있었다. 최근에야 이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 그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성격상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권 교수가 수학을 좋아하게 된 이유다. 이후 권 교수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다니다가 카투사에 지원해 주한미군 부대에서 군복무를 했다. 카투사 는 주말에 부대를 나올 수 있어 권 교수는 군복무 중에 미국 유학 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다.“미군과 생활했던 게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인체에 훨씬 무해하다. 연구팀은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차세대 PEG 고분자로 현재 서울대병원 연구팀과 함께 동물 실험 중이다. 김 교수는 “고분자나 나노소재를 새롭게 개발해 미래에너지 소자로 응용하는 것은 물론, 암이나 치매 같은 난치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고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귀에 딱지가 생길 만큼 자주 듣는 알고리즘을 수학으로 설계하기 때문이다. 허충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고등학생 시절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나갈 정도로 수학에 관심이 많았다. “왜 수학과 대학원으로 진학하지 않았냐”는 물음에 허 교수는 “수학과를 가기엔 현실의 문제에 너무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창작하는 ‘그림자 연극’의 콘텐츠를 이제 컴퓨터로 만들 수 있게 됐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가능케 하는 공간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해 학술지 ‘ACM 트랜젝션즈 온 그래픽스’ 7월 24일자에 발표했다.그림자 연극의 주요 요소는 빛, 스크린, 배우다. 빛과 스크린은 고정적이나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논문 검토 결과, 실험 설계부터 결과 해석까지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발표했다.최양도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실험 결과를 보면 더 적은 양의 NK603을 먹은 쥐가 더 많이 죽었다”며 “NK603, 즉 GMO 식품과 인체 유해성과의 상관관계를 증명할 만한 통계 자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답할 것이다. 각 나라 사람들은 동포끼리 한 곳에 모여 사는경향이 있다. 즉, A씨가 서울 시민이라는 사실은 A씨의 이웃이 한국인일 가능성을 한국인의 전세계 평균빈도보다 더 높여준다.위의 예에선 전체 개체군의 유전적 조성이 공간적으로 균일하지 않다는 요인이 근연도를 양수로 만들었다.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절단 공법에는 인력해체와 발파해체가 있다. 한강철교의 경우 서울 중심에 있기 때문에 소음 문제가 있는 발파보다는 인력해체가 좀 더 적합하다. 사람이 직접 트러스를 절단하는 공법으로, 절단된 트러스 구조물을 육상으로 운송할 바지선이 필요하다. 바지선에는 사람이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