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 내 재활용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오토파지 현상(Autophagy, 자가포식)의 원리를 밝힌 일본 도쿄공업대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열 ...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과학기술은 마치 우주에 속한 지구 같다. 정통파 과학사회학자로 불리는 홍성욱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10년간 고민한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풀어냈다. 그는 과학기술을 네트워크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과학은 이전 시대에 발표된 논문, 당시에 개발된 기계, 사회적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산업화와 전문화의 그늘을 지적한 연구였다.그런데 여기, 이 결론에 도전한 사람이 있다. 서울 종로구 김영사 사옥에서 만난 영국 웨스트민스터대 생물학과 루이스 다트넬 교수는 뽀얀 기포가 점점이 박힌 투박한 유리판 하나를 내밀었다. “제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물건입니다. 직접 모래를 ...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문제는 매년 자전거 사고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에요.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12세 이상 청소년의 자전거 사고가 최근 6년 동안 3배나 늘어났어요. 2010년에는 156건에 불과했는데, 지난해에는 460건이나 됐어요. 더 놀라운 사실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숨진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렇게 많은 사람과 동물이 섞여 있으면 인수공통감염병의 위험은 없을까. 신남식 서울대 수의과 교수는 “야생이 아닌 사람 손에서 나고 자란 반려동물이 질병을 매개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특수반려동물은 개나 고양이보다 더 다양한 질병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이나 구충, 소독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Untranslated Region·UTR)라고 부르는데, 이 짧은 염기서열도 miRNA의 주요 출처다.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세포 안에서 miRNA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주도적으로 밝힌 과학자다. 김 교수팀은 2003년 드로샤(Drosha)라는 효소가 miRNA의 전사체(pri-miRNA)를 인식해 염기 60여 개 길이의 조각으로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김다민 교수님, 안녕하세요. 김다민입니다. 국제무인선박 대회는 좀 생소한 대회인데요. 소개를 부탁드립니다.김낙완 반갑습니다. 국제무인선박대회는 올해로 두 번째를 맞는 행사인데요. 작년에는 싱가포르에서 열렸고, 올해는 하와이에서 열립니다. 대회가 12월이라 지금 대회를 준비하는 학생들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국의 HTT와 실질적인 기술 협력도 할 계획이에요. 아음속 캡슐 트레인이 개발되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25분이면 갈 수 있을 거라고 해요. *아음속 : 소리의 속도인 음속보다 약간 느린 속도.음속은 시속 1224km다. 인터뷰 초고속열차, 10년 이내에 만날 수 있어요!_이관섭(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2016년 4월 중순, 일본 큐슈 구마모토에서 대지진이 발생했어요. M7.0 정도의 어마어마한 강진이 14일과 16일, 두 번에 걸쳐 연속으로 일어났답니다. 그 후 700회 넘는 여진까지 계속 발생했지요. 구마모토 주민들은 지금도 공포에 떨며 불안정한 대피 생활을 계속하고 있어요.게다가 세계 곳곳에서 비슷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