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전자가 튕겨나와요.빛의 진동수가 크면 광자의 운동에너지도 커져요. 그래서 진동수가 큰 빛을 쏘았을 때 전자가 금세 튀어나왔던 거지요. 반면 진동수가 작은 빛을 쏘면 광자의 운동에너지가 작아 수백 개 광자가 날아들어도 전자는 금속판을 벗어날 수 없어요. 이처럼 높은 진동수의 빛이 금속의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말을 이었어요.“똑똑하군, 애송이? 하지만 내 계획엔 차질이 생겼어. 보다시피, 내가 큰 병에 걸려서 말이지. 요즘은 병실에 누워 내가 그동안 지은 죄의 대가를 받는 건 아닌가 생각한다네…. 저기 저 담장 옆의 아름다운 단풍나무가 보이나? 저기 달린 마지막 잎새가 떨어지면, 어쩌면 내 ... ...
- 달 착륙 최초 여성, 성공 열쇠는 ‘옷장 혁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필요했지요. NASA의 우주복 디자이너 에이미 로스 연구원은 “가장 작은 여성부터 가장 큰 남성까지 모두 맞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Go! Go! 고고학자] 뼈로 삼국시대 사람을 되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코, 입의 위치와 모양을 예측해요. 다음으로 머리뼈에 붙은 여러 근육 중 얼굴 생김새에 큰 영향을 주는 근육을 복원해요. 이후 아까 예측한 눈, 코, 입을 붙인 후, 두께에 따라 피부를 얹어서 얼굴을 복원한답니다.” 윤아영(의학미술가) 마지막으로 윤아영 작가님이 머리카락을 얹고 옷을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변화해요. 따라서 성별, 나이별 뇌 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인간의 뇌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한국뇌은행*에선 뇌 연구 자원을 연구자에게 제공해요. 이미 외국에서는 30년 전부터 뇌은행을 만들었지요. 세계 최대 뇌은행이 있는 브라질은 뇌 기증률이 90%에 달하고, 뇌 연구가 활발한 덕에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속에서 타노스가 손가락을 튕기자 무서운 일(?, 스포방지)이 벌어졌잖아요. 딱총새우도 큰 집게발을 위아래로 부딪히며 먹이를 사냥해요. 집게발을 튕기면 순간적으로 자기 몸의 150배 되는 힘으로 수중파가 나가며 눈앞의 생물들이 뇌진탕에 걸리게 하거든요. 10cm 크기의 딱총새우가 집게발을 튕기면 ... ...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불과했어요. 그들의 발표 이후 다른 천문학자들도 기존의 데이터를 다시 분석해 큰곰자리 47b, 처녀자리 70b 등의 외계행성을 연이어 발견했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이충욱 박사는 “두 연구자의 발견 이후 외계행성 분야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며, “외계행성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행성 형성 ... ...
- [노벨화학상] 전지에 혁명이 일어나다, 리튬 이온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반응성이 다른 두 금속을 전해질에 담그고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흘러요. 반응성이 큰 금속이 전자를 잃으면, 이 전자가 도선을 따라 반응성이 낮은 금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이죠. 리튬(Li)은 전자 하나를 잃기 쉽고 가벼워서 배터리의 후보 물질로 꼽혀왔지요. 하지만 리튬의 반응성은 장점인 ... ...
- [핫이슈] 아담스 패밀리... 호러블리 가족, 친해지길 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대한 고찰’이라는 논문을 발표했지. 그가 남긴 기록들은 현재 우리 생명을 살리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어. 죽은 개구리의 심장에 전류를 흐르게 하자 심장 근육이 수축했다는 기록을 토대로, 전기 충격으로 심장박동을 회복시키는 심장충격기가 개발됐거든. 햇빛으로 모두 태우겠어~!두 번째 ... ...
- [현장취재] 15주년 팬파티, 오늘은 우리가 주인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보내기!“섭섭박사님, 나와 주세요!”오후 2시, 팬파티가 시작되자 독자들의 큰 외침과 함께 섭섭박사님이 등장했어요. 섭섭박사님은 올해 조금 특별한 시간을 준비했어요. 바로 청계천에서 흐르는 물로 전기를 생산해 전기가 부족한 인도네시아에 보내주는 실험이었지요. 이번 실험엔 휴대용 수력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