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 신전을 지었어.파르테논 신전은 폭이 30.8m, 길이가 69.5m로 앞뒤로 긴 건물이야. 바깥에 총 46개의 기둥이 있는데 각각의 지름이 1.9m, 높이가 10.4m지. 이 신전을 멀리서 보면 같은 굵기의 기둥을 일정하게 세워, 반듯한 직사각형으로 만든 건물처럼 보여. 하지만 자세히 보면 전체적으로 건물이 휘어 ... ...
-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높이기 위해 아시아 지역 14개국에서 각각 10개의 이름을 정하도록 했다. 그런 다음 총 140개의 태풍 이름을 5개의 조로 나눈 뒤 순서대로 태풍 이름을 부르도록 결정했다.우리나라에서도 기상청에서 태풍 이름을 공모하여 순우리말 70개를 태풍위원회에 제출했다. 이 중 발음하기 쉬운 10개의 이름 ...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유는 서울의 똑똑한 버스번호 체계 때문이다. 서울시는 2004년 서울과 인근 경기 지역을 총 8개 권역으로 나눴다. 중구를 기준으로 서울의 가운데 권역을 0번, 오른쪽 위를 1번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7번까지 위치에 따라 번호를 매겼다. 이렇게 나눈 권역번호는 버스번호에 그대로 쓰인다. ... ...
- 8분마다 기상예보가 달라진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정보를 만든다.천리안위성의 기상자료처리시스템은 강우의 세기, 안개, 구름정보 등 총 16종의 기상 요소를 생산한다. 기상청에서 예보에 활용하려면 24시간 내내 가동해야 하므로 정확도는 물론 안정성이 중요하다. 기상자료처리시스템은 국립기상연구소와 학계가 협력해 개발했으며, ...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각각 3ATP와 2ATP가 합성된다. 포도당 1분자가 완전히 분해되는 과정에서 전자전달계에서는 총 34ATP가 생성된다. 화학삼투설 전자전달계에서 ATP가 생성되는 원리는 화학삼투설로 설명할 수 있다. 전자전달계에서는 전자가 전달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수소펌프에서 ... ...
- 첨단 융합기술의 산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통해 세계적인 과학기술 선도대학을 목표로한다. 학부 과정에서 공학계열과 경영계열의 총 7가지 전공을 운영한다. 세부 전공으로는 나노, 생명에너지 분야를 비롯한 차세대 과학 기술 분야가 있다.UNIST의 가장 큰 특징은 ‘융합전공’ 제도다. 기초과정부를 마친 학생들은 졸업하기 전까지 반드시 ...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름에 걸맞게 높이가 아파트 50층에 맞먹는 146m야. 평균 무게 2.5t의 돌 230만 개를 총 210단으로 쌓았지. 지금은 꼭대기 7단이 허물어져 203단 138m만 남았어.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둘레를 한 바퀴 돌아 보려 해도 1km 가까이 걸어야 해. 남쪽면의 길이가 230.45m, 동쪽이 230.39m, 북쪽 230.24m, 서쪽 23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나오는 좀비는 시체를 파먹거나 살아 있는 사람을 공격해 잡아먹는다. 칼로 찔러도, 총으로 쏴도 끝없이 살아나 다시 산 사람을 공격한다. 최근 만들어진 영화에서는 더 자극적이고 섬뜩한 전개를 위해 자각이 없는 좀비가 생각을 하거나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좀비가 점차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됐다. 그 이후 무궁화, 아리랑, 과학기술위성 등이 여러 차례 발사되면서 우리나라의 총 인공위성 수는 10기로 늘어났다.그러나 10기의 인공위성 모두 외국의 로켓을 빌려 발사했을 뿐 아직 우리나라가 직접 만든 로켓으로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지는 못했다. 러시아와 협력해 나로호를 만들어 로켓 ...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나타낸 그림이다. 호랑나비는 보통 알 상태로 1주일, 애벌레로 3주일, 번데기로 1주일, 총 5주일의 준비과정을 거치고 나비(어른벌레)로 2~3주의 삶을 산 뒤에 생을 마감한다. 나비의 주기는 비교적 짧은 편이다. 따라서 나비는 상대적으로 주기가 긴 벌이나 개미보다 먹이를 저장하는 일이나, 동료에게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