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분석해 화학물질이나 방사능물질을 조사한다. 스나이퍼 감지 장치를 장착한 팩봇은 총소리를 분석해 저격수의 방향과 고도, 거리를 알아내기도 한다. 포스터-밀러의 탈론도 여러 가지 장비를 바꿔 달면 정찰부터 전투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부상자를 후방으로 운반하는 로봇도 ...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말고 늦더라도 완벽하게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마무리 목조공사를 총괄한 신응수 대목장은 “오히려 더 튼튼히 작업했고, 광복절에 맞춰 공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그는 “경복궁만큼 (일제에 의해)정책적으로 파괴된 문화재는 없었다”면서 “한일 ...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과학동아 l2010년 09호
-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를 사용한다. PUE는 건물에 들어가는 총 전력을 IT 장비(서버, 네트워크 장비, 메모리)가 사용하는 전력으로 나눈 값이다. 즉 서버와 네트워크, 메모리 등 IT 장비를 구동시키는 데 드는 에너지와는 별도로 얼마나 에너지가 더 들어가는지를 알려준다. ...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의 고유종 수는 약6600종으로 이는 이 해역에서 발견된 총 생물종의 51%에 해당했다. 남극해도 45%에 이르렀다.한국은 일본, 중국과 근해가 가까이 붙어 있어 생물종이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확실히 우리의 고유종이라고 이름 붙이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한국 ... ...
-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높이기 위해 아시아 지역 14개국에서 각각 10개의 이름을 정하도록 했다. 그런 다음 총 140개의 태풍 이름을 5개의 조로 나눈 뒤 순서대로 태풍 이름을 부르도록 결정했다.우리나라에서도 기상청에서 태풍 이름을 공모하여 순우리말 70개를 태풍위원회에 제출했다. 이 중 발음하기 쉬운 10개의 이름 ... ...
-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 신전을 지었어.파르테논 신전은 폭이 30.8m, 길이가 69.5m로 앞뒤로 긴 건물이야. 바깥에 총 46개의 기둥이 있는데 각각의 지름이 1.9m, 높이가 10.4m지. 이 신전을 멀리서 보면 같은 굵기의 기둥을 일정하게 세워, 반듯한 직사각형으로 만든 건물처럼 보여. 하지만 자세히 보면 전체적으로 건물이 휘어 ... ...
- 번호로 찾는 지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해당 지역의 번호를 꼭 눌러야 한다. 지역번호는 전국을 특별시, 광역시와 도에 따라 총 16개로 나누고 있다.지역번호가 02인 서울은 유일하게 2자리의 지역번호를 쓴다. 그 외 다른 지역은 모두 지역번호가 3자리다. 03X는 경기도, 인천, 강원도가 함께 쓰며 세 번째 자리가 순서대로 1, 2, 3이다. ...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되는 높이에서 지구 주변을 돈단다. 한국은 우리별, 무궁화, 아리랑위성 등 지금까지 총 12개의 위성을 발사했어.눈과 귀가 밝은 맞춤형 수호천사이번에 한국에서 만든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은 매년 반복되는 자연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고, 더욱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게 만든 한국 최초의 ...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름에 걸맞게 높이가 아파트 50층에 맞먹는 146m야. 평균 무게 2.5t의 돌 230만 개를 총 210단으로 쌓았지. 지금은 꼭대기 7단이 허물어져 203단 138m만 남았어.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둘레를 한 바퀴 돌아 보려 해도 1km 가까이 걸어야 해. 남쪽면의 길이가 230.45m, 동쪽이 230.39m, 북쪽 230.24m, 서쪽 23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유는 서울의 똑똑한 버스번호 체계 때문이다. 서울시는 2004년 서울과 인근 경기 지역을 총 8개 권역으로 나눴다. 중구를 기준으로 서울의 가운데 권역을 0번, 오른쪽 위를 1번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7번까지 위치에 따라 번호를 매겼다. 이렇게 나눈 권역번호는 버스번호에 그대로 쓰인다.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