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인덱스 2016 라이징 스타’로 선정했다. 선정 방식은 2012~2015년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을 집계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라이징 스타 100개 중 40개 기관이 중국 소속으로 나타났고, 1~9위도 모두 중국이 차지했다. 과학계 신흥강자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씨는 3학년 이라는 부담이 있었지만 우주항공과 관련한 활동을 하려고 노력했다. 가령 지구과학2 과목에서 배운 여러 종류의 바람이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한 뒤 논문을 썼고, 그 내용을 자기소개서와 생활기록부에 반영했다. 이 씨도 3학년 때 내신 성적을 포기하지 않고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리스 수학자 탈레스와 에라토스테네스는 이 공식을 써서 거대한 피라미드의 높이와 지구의 반지름을 알아냈으니 정말 강력하죠? 그만 좀 섞어!수학의 묘미는 바로 아~주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게 푸는 겁니다. 실제로 수학자는 똑같은 증명이라도 길고 복잡한 것보다 간단하고 짧은 증명을 더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질학/지구물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대만 중앙대 연구원과 대만 중앙과학원 지구과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2014년부터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육지과 바다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 지진과 단층의 상관성, 지하구조 연구를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밀집한 대전 대덕연구단지에서 차로 30분을 달리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신동지구가 나왔다. 흙바람이 날리는 허허벌판 한 가운데에서 공사가 한창이었다. 3년 뒤 이곳에는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연구시설로 불리는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이 들어선다. 5월 11일 라온 구축 현장을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계속해서 빨라지는 게 문제예요. 무한한 시간이 지나도 아주 먼 우주의 빛은 계속 멀어져 지구에 도달할 수 없을 테니까요. # 어떤 학자는 우주 공간에 있는 사물이 유한한지, 무한한지에 따라 우주가 유한한지, 무한한지가 결정된다고 해요. 즉, 우주에 있는 실제 사물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구에 있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어요. 원자를 확대해 보면 핵과 그 주위를 도는 전자로 구성돼 있고, 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뤄져있답니다. 대부분의 원자핵은 안정된 상태인데, 불안정한 상태인 것도 있어요. 그럼 원자핵은 다시 안정된 상태가 되기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상의 망원경으로도 연구할 수 있다. 톰 에반스 엑스터대 물리천문학과 연구원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의 상층 대기를 연구하는 흥미로운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8-0067-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다. 이번에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도 마찬가지다. 국내 공룡학자인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전작과 내용이 이어지는 시리즈물인 만큼 공룡의 외형을 갑자기 바꾸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며 “영화는 영화대로 즐기는 한편, 고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옥에 티’를 찾으며 새로운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관찰하기 위해서는 수 TeV(테라전자볼트·1TeV는 1조eV) 수준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현재 지구상에서 인공적으로 가장 큰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장치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다. 2015년 사상 최고 출력인 13TeV를 기록했다. 원소 탄생의 순간을 엿보는 데는 이보다 낮은 수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