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제 톨루엔에 메틸기를 하나 더 붙여보자. 벤젠으로 생각하면 메틸기가 두 개 붙어 있는
셈
이다. 이런 분자가 있을까? 물론 있다. 자일렌이란 분자로 역시 석유에 존재하는데, 정제해 안료 같은 물질을 녹이는 용매로 쓴다. 벤젠고리의 탄소는 다 똑같다고 했으니까 자일렌도 한 가지 구조만 있을 것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때문이다. 코트디부아르 응원석에서 잘못해서 국기를 거꾸로 들면 아일랜드 국기가 되는
셈
이다. 이처럼 색깔이나 모양이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국기들을 소개한다. 색깔의 폭은 같을까?프랑스 국기를 보면 흰색의 폭이 좁아 보인다. 하지만 3색의 폭은 같다. 양옆에 있는 강렬한 파란색과 빨간색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만 5세에 초등학교 1학년을 시작한다. 만 7세에 입학하는 우리나라보다 2년이 빠른
셈
이다. 초등과정 6년을 마치면 11세에 중등학교로 진학한다. 7학년에서 11학년까지 5년 과정을 마치면 진로에 따라 길이 달라진다. 대학으로 진학할 학생은 2년간의 대학 예비과정을 거친다. 대학을 가지 않을 학생은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낮은 온도에 얼리면 되겠다고 말이에요. 북극곰이 추운 곳에 사는 데에서 힌트를 얻은
셈
이죠.그래서 사해에 사는 세균을 데리고 와서 아주 차가운 곳에서 길렀어요. 거의 모든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곳인 사해에서 살 정도면 그 생명력은 정말 대단한 것이거든요. 결국 이 세균의 리보솜 결정을 만들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연 임신과 같다. 불임 부부가 수정란을 만들어 임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인
셈
이다.산부인과 학계에서는 결혼을 한 뒤 1년 동안 정상적으로 부부생활을 했음에도 아기가 생기지 않는 경우를 ‘불임’으로 정의 내린다. 불임이 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여성이 정상적으로 배란(난소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X-글라이드를 입고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X-글라이드의 위력이 검증된
셈
이다.하지만 수많은 논란 끝에 지난 1월, 이 수영복은 세계수영연맹(FINA)의 공인심사에서 탈락됐다. FINA는 첨단 수영복을 제재하기로 하고 수영복 재질은 물이 통과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결국 물이 통하지 ... ...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악성종양의 흔적이 발견됐다. 과거에는 지금처럼 암이 일반적인 질병이 아니었던
셈
이다.미라뿐 아니라 고대 화석과 고전 문학에서도 암의 기록을 조사했다. 유방암 수술에 대한 묘사는 17세기에 처음 등장했다.1761년에는 코담배 이용자들에게서 비강암, 1775년에는 굴뚝 청소부의 음낭암이 과학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채 파괴할 수도 있다. 지구에서도 문제가 되는 환경 파괴를 우주까지 나가서 저지르는
셈
이다. 영화 ‘아바타’처럼 개발을 놓고 토착 지성체와 갈등을 빚지 않으려면 우주 시대에 맞는 새로운 윤리도 필요하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오늘날 우리가 진지하게 고민하기에는 너무나 먼 미래의 이야기다.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반응, 스즈키 반응으로 불린다. 팔라듐촉매를 이용한 탄소-탄소 반응의 대표주자들인
셈
이다.LG생명과학기술원 의약연구소 이태희 박사는 “이들이 만든 반응은 약방의 감초라고 불릴 정도로 분자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즐겨 쓰인다”며 “특히 반응조건이 온화하고 사용하는 시약의 독성이 낮은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폐렴은 못 먹으면 걸린다’는 어르신들의 이야기는 과학적으로 신빙성이 있는
셈
이다.노인이나 어린이들은 어른에 비해서 먹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이 훨씬 짧다. 특히 청소년기 이전의 어린이가 위험한데, 약 6주 정도 밖에 살 수 없다. 체구가 작아서 몸에 저장하고 있는 에너지가 적은데다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