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게이머 24시
과학동아
l
200003
기능이 아닌 감각을 키워라국내 게임 산업이 발전하고 확산되면서 몇몇 대학에서는 게임
학과
를 개설해서 프로게이머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게임 방법을 가르쳐주는 게임학원에서 프로게이머를 강사로 채용하기도 하지만 프로게이머를 희망하는 사람수에 비하면 여전히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03
보장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미래시대를 대표하는 용어로 불리는 디지털 혁명도 수
학과
함께 시작한다.프랑스의 푸리에(1768-1830)의 이론에 따르면 모든 주기적인 현상은 sin이나 cos등 삼각함수의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이 이론은 1948년 미국의 벨 실험실(Bell Lab)의 섀논이라는 수학자의 논문 '통신의 ... ...
인터넷 기업군단 거느린 소프트 뱅크
과학동아
l
200003
세계적인 연구수준을 가진 교수와 연구진이 즐비하다는 점을 놓치지 않았다. 그는 물리
학과
의 모더교수를 찾아가 자신의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지금은 제게 자금이 없지만 시제품이 완성되면 일본으로 가서 계약금을 받아와 그 때 보수를 지불하겠습니다”고 말했다. 처음에 교수는 자그마한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02
그렇다면 곡면이 나올 확률과 평면이 나올 확률이 다를 수밖에 없다.고려대학교 통계
학과
허명회 교수는 1995년 논문에서 윷짝의 독특한 모양을 고려해 새로운 확률값을 제시했다. 그는 ‘윷이 바닥에 닿은 순간 어느 면이 나올지 정해지고 더 이상 구르거나 튀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윷짝의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02
사람들이 오늘도 밤잠을 설친다.헬브레스 개발 책임자인 고광현씨(29세,단국대 전산통계
학과
대학원 졸)는 가상공산을 만드는 일에 흠뻑 빠져있는 시멘텍의 또 하나의 축.그는 대학시절부터 게임에 미쳐 게임 개발을 했다고 한다.그러나 현재 그가 받는 월급이라고는 고작 70-80만원 수준.흔히 ... ...
우주도 여성 차별하나
과학동아
l
200002
있지만, 전체 천문학자들 중 약 15%가 여성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런데 1999년 현재 천문
학과
대학원 졸업생의 25%가 여성이다. 이 비율은 대략 박사후과정에까지 유지된다. 그러나 교수직 등 학술분야의 고위직에 가면 비율은 급격하게 떨어진다.한편 ‘지위’는 여성천문학자들이 겪은 일화들을 ... ...
자기공명으로 생명의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002
신호의 크기는 해상도의 3제곱에 비례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KAIST 물리
학과
자기공명연구실에서 1.4μ의 해상도를 가진 세계 최고의 MRI현미경을 개발했다.KAIST 자기공명연구실의 이순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MRI현미경은 세포의 신진대사는 물론이고, 정자와 결합한 난자의 분열 등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02
손을 비비면 손바닥 사이의 마찰로 열이 생긴다.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길바닥에 흉하게 만들어지는 바퀴 자국도 마찰에 의한 것이다.마찰의 본질은 무엇일까.그리고 마찰이 없어진다면 어떤 세상이 될까.'마찰'이라는 말에 대한 느낌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마찰 때문에 에너지를 잃어버린다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01
아무 생각 없는 듯 단순해 보이기만 하는 동물들이 실제로는 수많은 속임수를 펼치며 살아가고 있다.낚시꾼처럼 그럴듯한 미끼를 던져 먹이를 낚아채기도 하고,자식을 속여 따돌린 후 혼자 배를 채우는 비정한 일도 있다.약육강식의 혹독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동물들이 개발해온 다양한 속임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01
생물학지구상에 살고있는 생물체들과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 구조물(인간을 포함해서)들은 거의 모두 대칭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대칭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대칭구조에 대해 아름다움을 느끼는지 모른다. 이러한 생물의 대칭성은 틀림없는 진화의 산물이다. 그들이 처하고 있는 환경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