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업데이트] 美·英백신 신속 승인한다는데...전문가들 “팬데믹 상황만 악화시킬뿐”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밝혔다. 페토 교수가 속한 WHO의 백신 임상 관련 전문가 그룹은 지난주 의학
학술
지 ‘랜싯’에 “형편없는 백신은 백신이 없는 것보다 더 좋지 못한 것”이라며 “이 백신을 맞은 사람들이 스스로 더 이상 감염 위험이 없다고 생각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멈출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논문 제1저자인 죠티 바하드와지 UNIST 연구원과 김명우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UNIST 제공 공기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 ...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공학 분야 국제
학술
지 ‘환경과학기술’ 24일자에 발표됐다 ... ...
닻 올리는 IBS 31번째 연구단...황준묵 복소기하학 연구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단장은 또 수학 관련 국제
학술
지 중 가장 역사가 오래 된 ‘크렐레 저널’을 비롯한 저명
학술
지의 편집인을 맡아 국제수학계의 리더 역할을 해오고 있다. 황 단장을 선정한 IBS 평가위원회는 “황 단장은 서로 다른 수학 분야들의 교차점에서 최전선 연구를 해왔고 업적은 전세계 일류 대학의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분류했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다. 하지만 이 변이는 7월 초 생명과학
학술
지 ‘셀’을 통해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력 또는 사람 사이의 전파력을 높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와 영국 셰필드대 의대 연구팀은 G, GR, GH 등 G ... ...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의 역설...곡물 가격 6배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물, 토지 사용에 영향을 미쳐 곡물 가격이 지금보다 6배 이상 오를 수 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25일(현지시간) 소개했다. NET는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기후변화를 막을 가장 강력한 후보 기술 중 하나로 꼽혀 왔다. 숲을 울창하게 가꾸는 방안부터 이산화탄소를 잘 빨아들이는 나무를 ... ...
어린이들 '숨은 전파자' 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소아과학교실 교수 등 국내 22개 병원이 의료진 공동연구팀은 연구결과를 이달 28일 국제
학술
지 ‘미국의학회지(JAMA) 소아과’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월 18일부터 3월 31일까지 22개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 91명을 분석했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11세였다. 이들 중 57명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7일 알록달록한 도마뱀처럼 보이는 그림을 표지로 실었다. 이 그림의 정체는 포유류의 젖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유선’이다. 분비물을 만들어내는 상피세포 집단인 선조직에 속한다. 전립선도 대표적인 선 조직이다. 이런 선 조직의 상피는 여러 세포가 층을 쌓은 형태를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몸 속에 약물을 1~2주동안 전달한 후 6개월 이내 분해되는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온라인판 28일자에 발표했다. 약물의 경구 투여나 주사형 방식은 몸 전체에 약물이 퍼진다는 문제가 있다. 알약을 이용한 경구 투여방식의 경우 몸 속에 필요한 부위에 약 5 ... ...
[코로나19가 바꾼 풍경] KAIST 개교 이래 첫 온라인 졸업식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금지하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에 따라 본원 대강당과 창의학습관 터민홀,
학술
문화관 정근모 콘퍼런스홀 3곳으로 분산해야 했다. 졸업생들은 KAIST 내 세 곳으로 나뉘어 졸업식을 온라인으로 지켜봐야만 했다. 정근모컨퍼런스홀에서 졸업생들이 학위수여식을 지켜보고 있다. KAIST ... ...
지구의 풍부한 물, 태초부터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분석한 결과 물이 생겨나는 데 필요한 수소가 풍부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8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콘드라이트 운석은 초기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함께 만들어진 운석이다. 이후 열에 노출되지 않아 초기 태양계의 비밀을 그대로 갖고 있다. 이중 태양과 가까운 곳에서 만들어진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