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동 美우방 문턱까지 넘은 중국산 코로나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인플루엔자 백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노팜은 관련 백신 임상시험 예비결과를 의학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보(JAMA)’ 13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부작용은 적고, 바이러스 독성을 막는 중화항체 형성 효과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노팜 연구팀은 대규모 임상3상을 통해 효능을 정확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레르기의 명리학
2020.09.15
유력하다고 한다. 태어난 달이 수명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지난 2001년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봄에 태어난 사람은 가을에 태어난 사람에 비해 수명이 반년 정도 짧다. 출생 월별 기대수명 그래프를 보면 북반구인 덴마크와 오스트리아는 3~6월이 평균보다 ... ...
"수면무호흡증 환자 코로나19 사망 확률 3배 높아"
연합뉴스
l
2020.09.15
성실하게 따르고 치료를 잘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수면의학'(Sleep Medicine) 최신 호에 실렸다.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 ...
휘는 디스플레이 붙이는 신축성 높은 투명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투명하고 잘 쉬며 형태 회복 능력이 좋은 디스플레이 소자용 접착제를 개발한 주역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왼쪽 아래부터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이 ... 점착제를 대량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화학공학 분야 국제
학술
지 ‘화학공학저널’ 지난달 27일자에 발표됐다 ... ...
금성 대기에서 생명 활동 흔적 제시하는 물질 발견
2020.09.15
결과 ‘인화수소(포스핀)’ 기체가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천문학 분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천문학’ 14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금성은 태양계 내에서도 가장 생명체가 살기 어렵다고 여겨져 온 행성이다. 지구보다 태양에 30% 가까워 태양열을 더 많이 받는 데다, 두꺼운 이산화탄소 ... ...
보이저2호도 놓친 천왕성 위성 정체 10년 전 자료로 밝혀내
연합뉴스
l
2020.09.15
~2013년에 가동된 '허셜 우주망원경'이 천왕성과 위성을 관측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 최신호에 발표했다. 허셜 망원경은 적외선을 발견하고 천왕성을 최초로 관측한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의 이름을 딴 유럽우주국(ESA)의 원적외선 ... ...
미국 서부 집어삼킨 초대형 산불…과학자들 호주처럼 기후변화 원인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지구촌 곳곳을 태우는 대형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학술
지 '사이언스'가 북위 50~70도 지역에 펼쳐진 침엽수림(타이가)을 태우는 대형 산불을 증가시킨 원인이 기후변화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표지 논문으로 실었다. 올 여름 유럽을 강타한 열파(폭염)도 산불을 일으킨 ... ...
코로나19 환자 입원한 병원 어디가 취약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의대 장희창 감염내과 교수와 기승정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대한의학회지(JKMS)’에 이달 21일 발표 전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했다. 연구팀은 전남대병원과 화순전남대병원, 빛고을전남대병원, 대구동산병원 등 병원 4곳에 올해 3월 25일부터 4월 8일까지 입원한 ... ...
[논문감시] 실험대상 이름 헷갈려 엉뚱한 실험...황당한 논문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연구팀은 “오류 때문에 논문을 철회하길 희망한다.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며 “
학술
지 독자들이 빠르게 편집장에게 지적상황을 전달해 재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크리스티안 앤더슨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팀은 3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추정 기원’이라는 논문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돌기 단백질(스파이크 단백질)의 주요 결합부위(RBD) 염기서열을 박쥐,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