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불확정성원리의 결함을 실험으로 검증했다는 논문이 실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의 반응은 잠잠했다. 정말로 불확정성 원리가 틀렸다면 현대 물리학의 기둥인 양자역학이 삐걱거릴 텐데 왜 조용했을까. 이 논문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에만 딴지를 걸 뿐, 불확정성원리 자체를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방법으로 암보렐라가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임을 밝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후 여러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검증해 온 결과, 지금은 암보렐라가 가장 원시적인 식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암보렐라는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 단성화이고, 꽃잎과 꽃받침이 거의 비슷하게 생겨 구분이 되지 않는다.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런 사회문화적인 사고방식에 근거한 것이다. 질병=악’ 관계 변화 중최근 많은 과학자들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한 완전한 박멸과 제거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 그 대안으로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한 예가 인간의 몸, 정확하게는 인간의 장내에 존재하고 있는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작품에서 죄없는 사람들을 짓밟은 범죄에 대한 분노를 표현했다. 이뿐만 아니라, 당대 수학자들이 연구한 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함께 이등변삼각형의 대칭 구조를 활용해 예술적 가치를 더했다.이제부터 꽃보다 할배를 시청하는 독자들은 스페인에서 펼쳐지는 꽃할배들의 ... ...
- 범죄와의 전쟁,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최초의 추적곡선 방정식이다. 오늘날과 같은 추적곡선의 정의는 1732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피에르 부게르가 고안했다. 그는 추적곡선을 이용해 지구의 밀도를 구하기도 했다.한편 추적곡선을 $x$축을 둘레로 회전하면 곡면이 생기는데, 이 곡면 위에서는 부분적으로 쌍곡기하학이 성립한다. 현재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공룡이 꽃을 먹으면서 폭넓게 진화한다는 것은 사실인 것 같아. 나는 미국의 식물학자입니다. 식물과 동물의 공진화에 관심이 많죠. 지금 제가 있는 곳은 6500만 년 전, 백악기 후기의 지층입니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이 때 지구에는 격변이 일어났습니다. 공룡을 포함한 중생대 생물 다수가 갑자기 ...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여전히 머튼의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도 논문의 재현성은 과학자들이 함께 검증 중이며 결과는 곧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필자는 오보카타 사건을 과학적 사기 사건으로 결론내리는 것에 유보적이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오보카타 사건에 심각한 연구부정 행위가 존재했는지는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여긴다. 심지어 매우 정의로운 일을 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정신분석학자는 히틀러의 편집적 성향이 불우한 어린 시절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히틀러 뇌’가 있을까편집증을 유발하는 뇌의 중추가 있을까. 그렇다면 그 부분을 치료해 문제를 막을 수 있다.뇌 내 도파민 수치가 ...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칼라하리 사막에 사는 ‘!쿵’ 부족은 산모가 오롯이 혼자의 힘으로 아이를 낳아요. 인류학자 마저리 쇼스탁이 !쿵족 여성의 출산과 양육 이야기를 기록한 ‘니사’는 출산과 양육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뒤흔드는 책이에요. !쿵족 여성들은 어떠한 의료시설이나 산파조차도 없이 되도록 혼자서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일대 전환점이 오게 된다. 튤립의 구근, 즉 덩이줄기를 처음 받아 든 네덜란드의 식물학자 클루지우스는 늘 하던 대로 새 식물의 유용성을 테스트했다. 우선 먹어본 것이다. 설탕과 식초에 절여도 보고 끓이거나 삶거나 굽거나 해서 여러 가지로 시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물론 먹을 수는 있었지만 별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