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수
학자
야코프 시나이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이렇게 큰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아벨상은 노르웨이 수
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을 기려 만든 상이다. 노벨상처럼 나이 제한도 없고, 지금까지 이룬 모든 업적에 대한 공로로 상을 준다. 상금도 약 10억 4034만 원으로 노벨상과 비슷해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것은 복잡한 수학문제를 푸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전기공
학자
뿐만 아니라 수
학자
들도 대규모 전력망 시스템에 쓰이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대정전 예방 연구를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비선형시스템* 선형(직선의 방정식)의 형태가 아닌 것으로, 비선형은 복잡계를 나타내는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없었다.”한편 소수의 비밀을 풀어내는 데 핵심이 되는 ‘리만 가설’로 유명한 수
학자
리만의 또 다른 업적으로는 ‘리만 기하학’이 있다. 그런데 리만 기하학에도 가우스의 끊임없이 고민하는 태도와 연관된 일화가 있다.리만이 괴팅겐 대학교 교수 자격을 얻기 위해 시범강의를 준비하고 있을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최남단의 규슈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해가 넓어졌다는 설명이다. 주로 고지자기
학자
들이 주장한다. 그러나 이 가설로는 1500만 년 전에 나온 일본 이동의 증거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또다른 이론으로는 일본 섬들이 남동쪽으로 그대로 이동했다는 인리형 분리 가설이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허허, 그런 이론이 있었나요?”송용선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에 대해 묻는 기자의 질문에 멋쩍은 웃음부 ... 빅뱅이론도 완전하지는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주장이 나온다. 우주의 진리에 도달하려는 물리
학자
들의 노력은 끝이 없다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불확정성원리의 결함을 실험으로 검증했다는 논문이 실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리
학자
들의 반응은 잠잠했다. 정말로 불확정성 원리가 틀렸다면 현대 물리학의 기둥인 양자역학이 삐걱거릴 텐데 왜 조용했을까. 이 논문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에만 딴지를 걸 뿐, 불확정성원리 자체를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방법으로 암보렐라가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임을 밝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후 여러
학자
들이 지속적으로 검증해 온 결과, 지금은 암보렐라가 가장 원시적인 식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암보렐라는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 단성화이고, 꽃잎과 꽃받침이 거의 비슷하게 생겨 구분이 되지 않는다.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여전히 머튼의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도 논문의 재현성은 과
학자
들이 함께 검증 중이며 결과는 곧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필자는 오보카타 사건을 과학적 사기 사건으로 결론내리는 것에 유보적이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오보카타 사건에 심각한 연구부정 행위가 존재했는지는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일대 전환점이 오게 된다. 튤립의 구근, 즉 덩이줄기를 처음 받아 든 네덜란드의 식물
학자
클루지우스는 늘 하던 대로 새 식물의 유용성을 테스트했다. 우선 먹어본 것이다. 설탕과 식초에 절여도 보고 끓이거나 삶거나 굽거나 해서 여러 가지로 시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물론 먹을 수는 있었지만 별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여긴다. 심지어 매우 정의로운 일을 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정신분석
학자
는 히틀러의 편집적 성향이 불우한 어린 시절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히틀러 뇌’가 있을까편집증을 유발하는 뇌의 중추가 있을까. 그렇다면 그 부분을 치료해 문제를 막을 수 있다.뇌 내 도파민 수치가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