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변하지 않죠. 그렇다면 3차원 구는 어떨까요? 3차원에서도 2차원과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까지는 소시지 모양으로 나열하는 것이 좋고, 특정 개수 이상부터는 빽빽하게 뭉치는 것이 좋습니다. 일일이 계산하려면 손이 많이 갈 텐데 다행히 이미 수학자들이 증명을 마쳤어요. 3차원에서 소시지 모양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몸집이 꽤 큰 편이야. 몸길이가 약 1.25m이고 체중은 36kg이 넘거든. 초등학생 1~2학년 정도의 몸집이지. 난 화려하게 생긴 물고기는 아니야. 탁한 갈색과 올리브색이 약간 섞여 있어 오히려 수수하다고 할 수 있어. 미국, 캐나다 등에 있는 물살이 느린 강이나 얕은 호수, 습지에서 지내. 4월에서 6월쯤엔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엘사보다 쿠잔의 에너지가 더 크지는 않을까. 일반적으로 자전거 타이어는 폭이 3.5cm 정도다. 쿠잔이 얼리면서 지나가는 면적은 타이어 폭에 자전거 속도를 곱하면 얻을 수 있는데, 아무리 느릿느릿 간다고 해도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을 최저 속도인 시속 3km, 즉 초속 83cm 이상은 돼야 한다. 따라서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실기 10문제에 집중하자. 떡볶이를 눈으로 관찰하고 입으로 맛볼 수 있는 만큼 어느 정도 승산이 있지 않을까. 가장 중요한 단서인 떡에 집중했다. 특히 밀떡인지, 쌀떡인지 떡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모든 과학 지식을 동원했다. 경험적으로 밀떡과 쌀떡을 구분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식감이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사용되고 있습니다. IMU 센서는 스마트폰에도 장착돼 있는데요. 스마트폰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감지한 뒤 화면을 자동으로 돌려주거나, 가속도를 측정해서 우리가 몇 걸음을 이동했는지 측정해주기도 합니다. 사실 좋은 IMU 센서는 탄도 미사일이나 드론의 핵심 부품이라서 수출이 규제되는 핵심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똑같은 육체까지 갖춘다면, 정말로 인간과 인공지능을 구별하기 어려워질 겁니다. 그 정도로 인간과 구별하기 어렵다면 그 인공지능을 인간이라고 인정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200살을 맞은 사나이‘200살을 맞은 사나이’는 SF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시리즈’에 속한 단편입니다. 199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닫는 만큼 기숙사에서 쫓겨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미국인 친구들도 대부분 일주일 정도는 집에 가거나 근처 친척 집에서 지낸다. 한국인 유학생도 대부분 한국에 온다. 내게 겨울방학은 해야 할 일이 전혀 없고, 한국에서 엄마의 집밥을 먹으면서 3주간 푹 쉴 수 있는 꿈 같은 기간이다. 가을학기가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책임연구원은 “보통 밀도가 낮은 시료라고 해도 ppb 단위(10억분의 1 비율·1000t(톤)당 1g) 정도는 존재하는데, 빙하코어에는 산소 같은 시료가 ppt 단위(1조분의 1 비율·100만t당 1g)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이렇게 극소량의 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장비발’도 중요하다. 극지연구소는 정밀한 ...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상처가 생기고 2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하며, 밴드가 많이 부풀어서 진물이 흘러나올 정도가 아니라면 자주 교체해서는 안 됩니다. 또 감염 위험이 있는 상처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세균이 더 많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화상용 연고가 따로 있다?헤어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리가 알고 있던 노란색이 아닌 붉은빛을 띠게 된다. 이렇게 금이 붉은빛을 나타낼 정도로 수십nm 수준의 아주 작은 나노입자로 쪼개면, 금 나노입자 내부의 자유전자가 빛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빛과 상호작용하는 금은 ‘표면 플라스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이라는 강력하고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