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보아제의 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보이지 않았다. 라보아제를 비롯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프랑스혁명이 오히려 지금가지
잘못
유지되던 아카데미 체제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했다.아카데미 회원들은 그 이전까지 담당했던 정부의 과학자문역할도 계속 수행했다. 왕정을 무너뜨리고 들어선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가설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견해에 따르면 근시초기에 안경을
잘못
쓰거나
잘못
된 안경을 쓰고 있으면 망막에 어렴풋한 경관이 비치는 시간이 길어져 근시 진행도가 빨라 진다는 것이다. 이런점에서 안경을 정확하게 맞추고 제대로 쓰는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
일부러 선택한 '고생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내용들. 진리들, 폭 좁은 시험공부에 얽매였던 고등학교 당시에는 자연과학에 대해
잘못
생각했던 점이 너무도 많았던 것이다.대학에 입학한 후 처음에는 누구나 가치관의 혼란을 경험한다. 그대에 어긋나게 펼쳐지는 현실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또 이제까지 묻어두었던 ... ...
글씨 못써도 기죽지 말자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하였다.한글 워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할 정도의 실력을 갖고도 왜 한글III의
잘못
된 버그를 고치지 않느냐고 알아보았더니, 글쎄, 캐나다 교포는 한국측의 사용자는 생각하기도 싫다는 입장이었다. 작년에 저작권 조약에 가입하였으므로 지금은 그런 일은 없지만 당시만해도 프로그램을 저자의 ... ...
행성군(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다른 천문학자들이 보고된 진동들을 관측하지 못했으며, 그 보고는 망원경 사용의
잘못
으로부터 발생했다는 것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희망은 사라졌다.그러나 지난 20년간 관측기계들이 개량되었으며, 1988년 중반엔 하버드의 데이빗 W. 래덤과 브리티시 콜러비아(캐나다의 주)의 빅토리아 ... ...
대폭발(BigBang)과 「거품」이론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생명이 탄생할 수 없는 수많은 우주가 존재할 뿐아니라 생명이 출현하기에는 무언가가
잘못
된 우주들이 수없이 존재할 것이다.하지만 우리가 존재하게된 것은 결코 수수께끼가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 우주와 유사한 조건을 갖춘 거품들 또한 무수히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인플레이션이론 ... ...
청소년·부모 모두 알아두자 자살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일어난 뒤에는 무관심했던 사람들이 죄책감때문에 입을 다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잘못
된 상식의 원인이다.자살자의 사망 후 뒷조사에서 그런 경고를 했던 경우가 55~75%였다고 한다. 한국에서 조사된 바로도 74%가 의사표시를 하였다. 거의 모든 자살자는 직전까지 이런 애타는 '구조요청'(cry for help ... ...
홈 뱅킹 시대 눈앞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슈파는 정보의 진위에 대한 책임을 일체 지지 않는다"는 판결을 받았을 뿐이다. 이처럼
잘못
된 정보에 의해 개인의 일생에 금이 가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전산망에 의한 편의가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우리 나라는 이러한 개인 및 기업의 정보를 여러 금융기관에서 수집하고 있으며, 그 ... ...
「콜럼부스 신화」속의 거짓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그러나 곧게 쏜 화살은 항상 그 자리에 떨어지기 때문에 지구가 자전한다는 생각은
잘못
이라고 그는 결론지었던 것이다.오렘도 지구가 자전하는 것이 해 달 별과 같은 모든 천체가 회전하는 것보다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다. 게다가 그는 뷰리당의 '화살'도 지구 자전에 대한 반대증거가 될 수 ... ...
석·박 학위논문에 이상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시급하다고 통계학자들은 진단한다. 의도적으로 '조작된' 통계보다 통계를 몰라서 '
잘못
사용된' 통계가 더 많다는 것이다.그렇지 않아도 국내의 여러 공식통계들이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는 시점이다. 다분히 의도적으로 작성돼 실제와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이다.하물며 진실의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