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부 좀 하면 머리가 아파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나타난다. 망상성 두통호소는 정신분열증환자에게 나타나는데 자기가 큰 병에 걸렸다는
잘못
된 확신을 두통으로 호소한다.아뭏든 신경성 또는 정신병적 두통의 경우엔 우선 선행(先行)하는 신경증이나 정신병을 치료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에는 환자와 의사의 긴밀한 협조아래 약물치료와 동시에 ... ...
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라 울고 웃으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져야 하는 것이다. 이전까지 국민들에게 존경과 흠모를 받던 과학기술자가 이제 자칫
잘못
하면 지탄과 비난의 대상이 될 수도 있음을 뜻한다.가슴에 손을 얹고 곰곰히 생각을 해보자. 젊은 과학기술자 이인우가 만든 신물질이 인류의 불치병중 하나인 암의 치료제로 쓰인다면 이인우란 이름은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소련은 작년에도 화성탐사선인 포보스 1호와 2호를 발사했다. 그중 포보스 1호는 조정
잘못
으로 인해 이미 고장난 상태다. 다만 금년 1월에 화성궤도에 진입할 포보스 2호의 성과가 기대된다.반면 미국은 이미 바이킹탐사선을 화성에 착륙시켜 많은 자료를 얻었다.우주정거장 건설은 소련이 ... ...
시간강사 춥고 배고프지만 양지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과거의 과학을 바라보면, 옛날 과학자들이 과학이라고 생각했던 것의 많은 부분이
잘못
되었다는 생각을 가지기 쉽다. 더욱이 우리 눈에는 사이비과학(pseudoscience)이라고까지 보이는 것도 과학의 영역에 자주 등장한다.그러나 과학사에서 의미가 있는 것은 과거의 과학이 과학이었다 또는 그렇지 ... ...
실제 크기에 근접, 남·북위 38도 기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앨래스카의 크기를 과거의 지도에 나타난것과 비교해보면 이제까지 우리가 얼마나
잘못
된 지리지식을 갖고 있나를 쉽게 알 수 있다.물론 지도책에 따라 로빈슨도 법과 비슷하게 그린 지도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은 그리기 쉬운 평면도법을 그대로 쓰던지 약간의 수정만 했을 따름이다.따라서 세계의 ... ...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효능을 결정짓는 요소는 재질, 자력, 자석의 배열, 자화방법 등이다. 이중 하나만이라도
잘못
된다면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 이에 자력선 치료기는 2개 종합병원의 임상효과를 확인한 뒤 보건사회부의 제조품목 허가를 받도록 약사법 제26조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자력선 ... ...
금연하면 뚱뚱해지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청소년 흡연인구가 날로 늘고 있다. 여기에는 담배에 관한
잘못
된 지식이 촉매역할을 한다. 따라서 흡연의 해독을 바로 아는 것은 수명을 7~8년 연장시키는 지름길이 된다. 아래 제시된 문제를 15문제 이상 맞추고 실천하면 수명 + α를 얻을 것이다. O X로 답할 것. 퀴즈1. 건강에 그다지 해롭지 않은 ... ...
컴퓨터사회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법 행정전산망 사업과 병행 추진해야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청구권 등을 통한 개인정보의 정확한 통제이다.즉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을 허용하여
잘못
입력 저장된 정보의 정정, 소거, 또는 본래의 목적외로 사용되어질지 모를 상황에 대해 미리 전용금지를 청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프라이버시가 보장될수 있다. 이러한 실질적 보장을 위해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벨라트릭스(Bellatrix)'는 여투사(女鬪士)를 뜻한다. 원래 아랍어로 '정복자'를 뜻하던 것이
잘못
번역된 것 같다. 그러나 후세의 점성가들은 이 별밑에 태어난 여성은 입심이 좋다든가,팔자가 좋다는 말을 만들어냈다.우리나라에서 삼태성으로 알려진 한가운데의 세 개의 별은 '띠'라는 뜻의 아랍어의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했다는 사건이 가끔 신문지면을 장식했다. 대구알이나 명태알과 비슷한 복의 알을
잘못
알고 끓여먹은 사람들이 죽은 것이다. 그때만 해도 복의 알이 그렇게 무서운 독이란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았고 복의 알을 처리하는데 소홀했기 때문이다.이런 사고를 막고 전문가만이 조리를 할 수 있도록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