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스페셜
"
정도
"(으)로 총 4,0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비전이 아닐까 생각되면서도 달리 생각하면 ‘왜 빨리 실행하지 않나?’라는 의문이 들
정도
로 놀라운 측면도 있다. 주요 해조류 34종 가운데 하나라도 자랄 수 있는 바다(feasible)와 양식이 가능한(suitable) 바다 분포를 보여주는 지도다. 양식이 가능한 면적인 약 6억5000만 헥타르 가운데 우리나라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연인이 실제로 자신을 사랑하는
정도
보다 연인의 사랑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이 있었다(Fletcher & Kerr, 2010). 내가 연인의 사랑을 10점 만점에서 6점으로 생각한다면 실제로는 그 이상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내 연인이 내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신경도 쓰지 않는 소비자가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적은 양의 유해물질에 대해 지나칠
정도
로 민감하게 신경을 쓰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더욱이 암은 장기간에 걸친 반복적 노출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독성이다. 과학적으로 확인된 발암성을 무시할 이유는 없지만, 적은 양의 발암물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한다. 식물에서 나트륨이 조연은커녕 단역에 머무른 것 역시 진화 과정으로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다. 해양 동물에서 신경계와 순환계(혈관)가 진화한 반면, 식물은 신경계가 없고 순환계라고 볼 수 있는 관다발조직은 육상에 올라오고 한참 지나 진화했다. 나트륨 이온 농도가 낮은 육상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통합 수능을 도입한다는 것이었다. 문·이과 통합에 대한 당시 서 장관의 인식은 놀라울
정도
로 순진했다.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는 ‘통합사회·통합과학·(통합)수학’을 만드는 것이 고작이었다. 문·이과에 따른 수능 과목의 선택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서남수식 문·이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을 자랑하지 않아야 행복하다
2023.01.14
보이려 애쓰기보다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고 작은 행복들을 만끽하는 것만이 “이
정도
면 괜찮은 삶”이라는 감각을 가져다 준다. 겉으로 보이는 것들에 대한 걱정이 가득한 나머지 내 앞에 놓인 시간들에 충실하지 못한다면 내 삶을 진짜로 사는 것조차 불가능하다. 자랑하지 않고 시기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크다면 후속 연구에서 그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대신 그 논문을 인용할 것이다. 이런
정도
를 수치화해 ‘CD 지수’로 나타내는데 가장 낮은 –1에서 가장 높은 1 사이의 값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파괴성이 90%나 감소한 데에는 출간되는 논문이나 특허 건수가 급증한 것도 주요 원인이 아닐까. ... ...
[표지로 읽는 과학] 2100년 지구 빙하 절반이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빙하를 분석했다. 기온이 1.5도와 4도 올랐을 각 경우에 따라 빙하의 용융과 해수면 상승
정도
를 예상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2100년에는 지구에서 약 절반 가량의 빙하가 사라질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기온이 1.5도 오르면 세계 빙하의 20~32%가 사라지며 4도까지 상승하면 30~52%가 모습을 감추게 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콩팥 대신 노폐물을 걸러주는 투석을 해야 한다. 투석은 보통 4시간씩 일주일에 3회
정도
시행하므로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이식은 이러한 단점을 깔끔히 해결해 주었다. 최초의 조혈모세포 이식은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를 대상으로 1939년에 이루어졌다. 연합뉴스 제공 ● 콩팥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그 결과를 일반 대중에 지속적으로 공개해 오고 있다 (https://motrpac-data.org). 한국에서도 이
정도
야심찬 스케일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뇌기능 향상에 초점을 맞춘 운동 관련된 분자들의 종합적 이해를 공동협력연구를 통해 추구할 수 있으면 좋겠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