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결합에너지"(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2016.12.31
-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IBS l2016.10.04
- 2015년 12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연구자들의 가슴이 다시 뛰기 시작했다. 힉스 입자의 일등공신이었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또 하나의 신호를 포착한 것이다. 현대 물리학의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까? 수개월 동안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부푼 기대를 안고 이 신호를 분석하는데 참여했다. ...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2016.08.01
- 도핑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렸습니다. 만약 불법 행위로 도핑을 한정한다면, 당연히 도핑이 아니죠. 하지만 다른 사람에 비해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뚜렷한 의도를 갖고 주요 영양소가 아닌 물질을 섭취한다면, 도핑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테리 그레이엄, 캐나다 궬프대 생리학자. 운동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무엇인가요? A: 연성물질(soft materials)이란 말 그대로 부드러운 물질이죠. 물질을 이루는 결합에너지가 열에너지와 비슷해 외부 자극에 쉽게 반응합니다. 액정, 고분자 액체, 물, 콜로이드(직경1μm 미만의 미립자들이 액체‧기체에 분산된 상태), 생체 등을 아우르지요. 연성물질이란 용어는 1991년 ...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2016.04.11
- 과학자가 되려고 했지만 결국 과학에 대한 글을 쓰는 일을 하게 된 필자는 가끔 씁쓸한 상념에 젖곤 한다. 그러다가도 최근 발표된 논문이나 관련 기사를 읽다가 기존 지식과 모순되거나 불분명한 내용을 접하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나?’라며 사서 고민을 하기도 한다. 네안데르탈인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화학 반응의 속도를 더 빠르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촉매는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화학 반응을 도와준다 - shutterstock 제공 촉매는 화학반응을 만드는 중매쟁이다. 남녀의 만남을 주선하는 중매쟁이처럼 물질 간의 화학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다. 촉매는 다재다능하다. 생명체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2016.01.08
- 연말마다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 ...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말 그대로 '다사다난'한 해였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1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무장괴한들이 총기 테러를 일으켰고 4월 네팔에서는 모멘트 규모 7.8의 대지진이 발생해 8천 명이 사망했다. 5월에는 우리 ...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IBS l2015.12.29
- 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은 DNA 복제, 손상 반응, 복구에 대해 분자적 수준에서 접근하고 있는 연구단이다. 이 연구단의 이규영 연구위원(좌)와 김태문 연구위원(우)을 울산과학기술원에서 만났다. - 김상현 제공 세포가 손상된 DNA를 어떻게 복구할까? 올해 노벨 화학상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은 3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