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립
미립자
암맹이
알
난
알맹이
입자
뉴스
"
알갱이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남극 장보고기지, 우주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2014.12.05
가지고 와 격자 간격이 10μm 종이필터 위에서 5개월간 서서히 녹였다. 필터에 걸러진
알갱이
를 주사전자현미경(SEM)로 선별하고 전자현미분석기(EMPA)으로 분석해 규소, 알루미늄 등 지구에서 유래한 물질은 제거하고 우주먼지만 걸러냈다. 이 연구원은 “장보고기지 서쪽 300km 지점은 어느 누구의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영화 '인투 더 스톰'의 한 장면. - 워너브라더스 제공 시커먼 구름이 잔뜩 몰려와 하늘을 덮더니 구름 한가운데 검은 깔때기가 생긴다. 이 깔 ... 골프공만 한 우박도 토네이도의 전조다. 슈퍼셀 안에 기온이 0도 부근에서는 얼음
알갱이
가 상승과 하강을 되풀이하면서 우박을 만든다. ... ...
3억5000만 원 vs 300억 원, '진주운석' 몸값은?
과학동아
l
2014.05.09
극지연구소에서 분석한 진주 운석. 단면에 작은
알갱이
인 콘드룰이 발견돼 콘드라이트로 밝혀졌다. - 극지연구소 제공 3월 경남 진주에 떨어진 운석의 가격을 놓고 정부와 운석 발견자들 사이에 의견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는 “지난달 25일 연구 목적으로 ... ...
지름 250km '커리클로'서 고리 발견…'중력 가설'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4.04.18
고리에는 얼음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자들은 작은 먼지 입자와 얼음
알갱이
등 고리의 구성성분을 토대로 한 연구에서 고리가 다른 천체의 부산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외에도 토성의 고리가 화려하고 큰 이유도 오래된 관심사다. ●커리클로, 고리 생성 ... ...
진주 운석 궤도·크기 밝혀질까
과학동아
l
2014.03.28
있다. ●달에서 온 운석은 g당 100만 원 극지연구소에서 분석한 진주 운석. 단면에 작은
알갱이
인 콘드룰이 발견돼 콘드라이트로 밝혀졌다. - 극지연구소 제공 운석은 ‘분화 운석’과 ‘미분화 운석’으로 나뉜다. 비교적 크기가 큰 행성이나 소행성 같은 천체는 중력 때문에 지각, 맨틀, 핵으로 ... ...
‘별에서 온 그대’의 정체는 운석?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없는 아콘드라이트로 나뉜다. 극지연구소에서 분석한 진주 운석. 단면에 작은
알갱이
인 콘드룰이 발견돼 콘드라이트로 밝혀졌다. -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가 진주 운석을 분석한 결과, 운석의 단면에서 지름 1㎜ 내외의 콘드룰이 발견됐고, 철 성분이10% 안팎으로 함유된 것으로 드러났다. ... ...
총에 맞아도 15초면 지혈 끝!
과학동아
l
2014.02.28
모양이다. 안에는 스펀지를 1cm정도로 압축한
알갱이
들이 들어있다. 지혈할 상처 안에 이
알갱이
들을 넣으면 피를 흡수하면서 부푼다. 시중에서 파는 요술행주와 비슷한 원리다. 엑스타트는 흡수력이 월등해 단 3알만으로 거즈 5롤을 대체할 수 있다. 게다가 부피가 커지면서 상처를 압박하는 효과도 ... ...
비닐하우스 위에 경차 33대 올라가 있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10% 이상이면 습설이라고 한다. 싸락눈처럼 물을 많이 포함하지 않은 ‘건설’은
알갱이
가 딱딱해 주변의 수증기가 덜 달라붙는 반면, 습설은 기본 입자가 별 모양이어서 가지 사이사이에 수증기가 많이 달라붙는다. 영동지방처럼 수증기가 충분히 공급되는 해안가에서는 습설이 잦다. ... ...
사랑하면 더 많은 별이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1000억 배를 한 그야말로 천문학적 숫자다. 이는 지구의 바닷가와 사막에 널려 있는 모래
알갱이
를 모두 합한 수보다 10배나 더 많은 것이라고 한다. 여러분에게 이렇게 많은 별은 어떤 존재인가.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에서 어린왕자는 생텍쥐페리에게 이런 말을 건넨다. “사람들에 따라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분자차원에서 규명되면서 마침내 혀지도의 허상이 밝혀졌다. 설탕이나 소금
알갱이
를 조금 집어 혀 부위별로 떨어뜨려보면 누구나 반증할 수 있는 명백한 오류가 60여 년 동안이나 살아남아 과학교과서에까지 버젓이 실렸다는 건 지금 생각해봐도 미스터리한 일이다. ●커피 탈수 실험 논문 딱 두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