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립
미립자
암맹이
알
난
알맹이
입자
뉴스
"
알갱이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PNAS) 8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역세제곱의 법칙에 따르면 토성의 고리에서 2m 크기 얼음
알갱이
개수는 1m 크기 입자 개수의 8분의 1이고, 3m 크기 입자의 개수는 1m 입자 개수의 27분이 1이 된다. 큰 입자는 느린 속도로 작은 입자를 만들고 작은 입자들은 빠른 속도로 더 작은 입자들을 만들어내기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08.19
넣어 얼린 얼음을 갈아보세요. 우유나 연유 속에 들어 있는 지방이 물 입자를 코팅해 얼음
알갱이
가 부드러워진답니다. 또 고소하고 달착지근해 고명을 많이 얹지 않아도 맛있는 빙수를 만들 수 있어요. 최근에는 눈처럼 부드러운 눈꽃빙수도 인기예요. 어떤 업체에서는 얼음을 눈꽃처럼 갈아주는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불과한 찰나의 순간이라는 것을 알아냈다고 3일 밝혔다. 구름 속의 얼음은 처음엔 작은
알갱이
에 불과하지만 주변 수증기가 붙어 더 큰 덩어리를 형성해 무거워지면 비나 눈이 돼 내린다. 온도가 떨어지면 주변 물분자들은 서로 뭉쳐 작은 방울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방울의 크기가 커져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사실을 밝혀냈어요. 에어로졸은 기체 속에 떠 있는 작은 액체나 고체
알갱이
를 말해요. 파도의 표면에 생긴 거품이 터질 때 나오는 작은 물방울이 대표적인 에어로졸이지요. 에어로졸은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1㎛=10-6m) 정도로 작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구름을 만들거나 자연 속의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모래나 진흙 속에서 먹이를 찾을 때 적극 활용한다고 한다. 모래에 부리를 박아 모래
알갱이
사이에 있는 극미량의 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는데, 먹잇감이 있는 경우 압력파에 교란이 생기면서 탐지가 가능하다. 귀가 특히 밝은 새들도 있다. 야행성인 올빼미는 귓구멍이 한쪽은 눈 아래, 한쪽은 눈 ... ...
나노 물질 제대로 사용하는 길 열렸다
2015.04.26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온 것이다. 박만수 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사진)는
알갱이
들을 굳혀서 덩어리로 만드는 기술인 ‘소결법’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간 고분자 결정을 제작하기 위해 낮은 온도에서 빠르게 소결법을 진행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이를 나노 수준에 적용한 ... ...
눈으로 보는 건강신호 12가지...“○○○나타나면 고혈압 의심”
동아닷컴
l
2015.04.21
건강신호 다섯 번째는 눈꺼풀에 하얀
알갱이
가 있다는 것이다. 만약 눈꺼풀에 작은 하얀
알갱이
가 있다면 혈액 내 지방이 많이 축적돼 있다는 것을 뜻한다. 여섯 번째는 눈이 노랗다는 것이다. 만약 황달이 있다면 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눈으로 보는 건강신호 일곱 번째는 가려움증과 충혈이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재료인 흑연이 바로 광물이지요. 유리의 재료가 되는 석영도 광물이고요. 바위조차도
알갱이
하나하나가 모두 광물이랍니다.” 이 소장의 설명을 들으며 전시장에 들어서자 우리 생활 속에 들어온 광물이 보였어요. 전선 속에 들어 있는 구리가 자연에서는 어떤 상태로 나타났는지 볼 수 있었지요.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어떻게 돌아다니고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 양자역학이다. 과학자들은 전자가 작은
알갱이
라고 생각했다. 전자를 바람개비에 쏘아주면 바람개비가 돌아가기 때문이다. 입자인 전자의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이 했던 실험은 다음과 같다. 바로 토머스 영의 이중 슬릿 실험으로, 물리학 ... ...
로제타가 보내온 화석의 정체, ‘집적 장벽’ 딜레마 해결할까?
동아닷컴
l
2014.12.24
못하고
알갱이
들로 분해되고 마는 성질을 말한다. 우리 과학의 수준은 cm 크기의
알갱이
들이 어떻게해서 집적 장벽을 극복하고 서로 뭉쳐서 더 큰 물체로 나아가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혜성으로 구성되는지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다른 일부 과학자들은 ‘공룡 알 모양의 화석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