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때 수학 성적이 좋지 않아 문과 계열 대학에 진학했어요. 일본 츠쿠바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심리학을 공부했지요. 그러던 중 담임교수님께서 컴퓨터를 좋아하면 전공을 바꿔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했고, 대학교 2학년 때부터 컴퓨터공학 공부를 시작했어요. “대학원에 진학했는데, 제가 있던 곳은 ... ...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문제 해결 아이디어가 하나씩 떠오르더라고요. 어려웠지만 신기했지요.” 하지만 수학과 수업 중 어떤 과목들은 성적은 잘 받아도 이해하기 어려웠어요. 오히려 서동주는 실생활에 쓰이는 응용수학인 ‘분석 마케팅’ 수업에 더 흥미를 느꼈습니다. 분석 마케팅은 예컨대 고객에게 쇼핑백을 ... ...
- [기획] 24마리에서 2억 마리로 늘어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나는 속 흰토끼야. 올해 한국이 검은 토끼의 해인 계묘년을 맞았다고 해서 영국에서 놀러왔지. 바로 호주에서 150여 년간 벌어진 토끼와 사람의 치열한 전투를 들려주기 위해서 말이야. 토끼와의 추격전부터 생물보안의 개념까지! 지금부터 내 이야기를 잘 따라와 봐! ...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버는 미래와, 좋아하는 문학이나 철학을 하는 나 사이의 고뇌다. 지금은 대학에 가서 공학과 철학을 복수전공하면서, 계속 소설을 쓰는 미래를 그린다. 내게 더 중요한 건 소설 쪽이다. Q. 자아에 대한 고민이 ‘나의 채티에게’에 고스란히 드러났다.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착안했나. 자아정체성에 ...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론이었기에, 살아있는 세포를 직접 공부하고 싶었다. 그래서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제이 그로브스 교수님과 함께 면역세포 중 하나인 T세포의 세포막 없는 세포 소기관이 면역세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하고 있다. 바이러스를 만들고 세포를 키워나가는 것까지, 분자생물학의 여러 ... ...
- [꿀꺽! 수학 한 입] 마트에 가면~♪ 과자도 있고, ‘숫자’도 있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가장 높은 자릿수가 2에서 1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이홍주 숙명여자대학교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가격의 맨 앞자리 숫자가 2에서 1로 바뀌면 소비자들이 ‘2만 원’ 이상의 물건이 아닌, ‘1만 원대’의 저렴한 물건이라고 느끼게 되는 거예요”라고 설명했어요. ☞오디오로 들어요 http://m ... ...
- [특집] 물렁물렁 슬라임 과속방지턱부터 로봇까지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말캉말캉 몰랑몰랑! 손으로 만지며 가지고 놀 수 있는 이 장난감의 이름은 슬라임이에요. 슬라임을 만지다 보면 스트레스가 날아가기도 하고 마음이 편안해지죠. 슬라임이 이렇게 액체 같기도 하고, 고체 같기도 한 이유는 뭘까요? 슬라임의 원리와 다양한 활용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어지는 ... ...
- [특집] 슬라임으로 로봇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세한 틈도 문제없이 지나간다2022년 3월 홍콩중문대학교 기계자동엔지니어링학과 리 장 교수팀이 슬라임으로 탁구공 크기의 로봇을 만들어 공개했어요. 슬라임의 주재료인 폴리비닐알코올(PVA)과 붕사에 네오디뮴 자석 가루 입자들을 넣어 만들었기 때문에 자성을 띠고 있지요. 조금 떨어져 있는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나무와 버섯의 은밀한 공조 관계 공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속에 담아내는 청년 생태사진작가.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 입학을 앞두고 있다 ...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결과를 불러일으켰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조엘 알베스(옥스포드대학교 고고학과 박사 후 연구원) “생물보안은 우리 모두의 일” Q생물보안이 무엇인가요?호주 전역에 퍼진 토끼 사례처럼, 외부에서 새로운 생물이 들어오면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요. 생물보안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